홍윤표소장 154장본 <춘향전>은 소리 현장에서 실제로 불리어지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은 사설들이 다량으로 집적되어 있고, 구체적인 장면 묘사에서도 소리 현장에서나 가능할 법한 묘사들이 다수 발견된다. 이처럼 홍윤표본은 창본적 성격이 매우 짙은 작품이다. 홍윤표본이 창본적 성격을 갖춘 것은 작품을 구성할 때 기존 현장 소리를 주로 끌어 모았고, 장면 묘사를 할 때에도 소리 현장을 최대한 반영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판소리 독서물을 창본처럼 구성한 것은 독서를 통해 연희판을 최대한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본다. <남원고사> 계열 작품이나 경상대소장 75장본 <춘향전> 등 일련의 작품들을 보면, 독서물임에도 불구하고 연희판에서나 접할 수 있는 사설들이 어느 특정 부분에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여 집적되어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대목을 읽을 때 현장 연희판을 간접적으로나마 어느 정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기의 작품을 독서물로 만들 때 특정 대목에 연희판 사설을 새롭게 창조하여 배치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한 목적은 독서를 통해서라도 연희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본다. 필사본 춘향전 이본들 중에는 독서를 통한 연희판의 간접 체험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있고, 그 방식은 소리 현장에서 실제로 불리어진 사설을 끌어모아 창본처럼 구성하거나, 아니면 연희판을 작품 내에 새롭게 창조하여 배치하는 방식이었다. 독서, 즉 글을 통한 대상의 간접 체험은 조선후기 양반들 세계에서 문화 현상의 하나로 자리잡지 않았나 생각된다. 산수유기를 통한 와유문화나 <관우희>의 예에서 그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연희판의 간접 체험을 위해 만들어진 판소리 독서물도 글을 통한 대상의 간접 체험이라는 문화 풍토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This thesis investigated characters of festivities in Pansori reading text. Among Pansori reading texts, it is versions include Pansori field in text. They are Chunhyangjun possessed Hong Yun-Pyo, Namwongosa, Chunhyangjun possessed Donmammungo, Chunhyangjun possessed Kyungsang university, Chunhyangjun possessed Keimyung university, Chunhyangjun possessed Sa Jae-Dong etc. Hong Yun-Pyo version shows Pansori field on side song, story, scene, description. Therefore Hong Yun-Pyo version is felt like Pansori script. But Hong Yun-Pyo version is not Pansori script. Because of Hong Yun-Pyo version is very long, it is impossible sing on Pansori field. A Pansori field character of Hong Yun-Pyo version is for vivid reading. Through this text, readers feel Pansori field feeling. The festivities field was created Namwongosa and Kyungsang university version etc. The festivities field are song of man and woman, play of Walja and travelers, song of Pansori master singers etc. This festivities field was created among works later. A readers feels vivid song scene feeling on festivities field. The festivities field of Pansori reading text was created for indirect xperience of festivities field. The reading text for indirect experience was made through collection field Pansori, creation and arrangement of festivities field. A indirect experience of objects through reading or book was cuture phenomenon of Chosun later period. A indirect experience on Pansori through Pansori reading text was influenced culture phenomenon of Chosun later period.
1. 문제 제기
2. 실제 사설의 집적을 통한 간접 체험:홍윤표본의 경우
3. 연희판의 창조와 배치를 통한 간접 체험:경상대본 등
4. 간접 체험의 향유 문화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