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과 대중매체 경험이 성인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Experience on Adult Multicultural Accept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tivities
본 연구는 접촉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적절한 정책적 개입이 일반 성인의 다문화 인식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시각에 주목하여 다문화수용성 제고 정책 주요소인 다문화교육과 대중매체, 다문화활동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간접접촉인 다문화교육, 대중매체와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직접접촉인 다문화활동의 매개효과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2021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일반 성인 4,993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활동은 각각 다문화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직접접촉인 다문화활동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대중매체와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활동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다문화활동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어 수용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접촉 제한을 극복하는 방안 마련과 더불어 다문화교육의 확대, 대중매체 정책의 전반적인 재검토,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활동이 연계된 정책 고려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erspective fact that appropriate policy intervention can lead to improvement in the general adult's multicultural awareness in a situation where contact is limited,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ss media,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are the main eleme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enhancement poli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is direct cont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mass media, which is indirect contac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also examined. To this e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4,993 general adults using the 2021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each had a positive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di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is direct contact, was found.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act as major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at multicultural activities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n important link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as follows; measur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tact,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verall reexamination of mass media policies, and consideration of policies linking multicultural activiti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