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리더십연구 제14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원적 리더십과 근로자 창의성에 관한 연구

The Interactive Effect of Supportive Leadership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on Employee Creativity

DOI : 10.22243/tklq.2023.14.3.119
  • 295

현대 조직 맥락에서 창의성은 조직 경쟁력 증진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며, 근로자 창의성을 촉진 시킴에 있어 근로자의 리더들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리더십과 창의성에 관한 연구들은 건설적인 리더 행동이 근로자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물질적 영향을 줌으로써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줌을 밝혀왔다. 하지만 지원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함의에 대해서는 일관성 없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기존 연구들이 리더의 특성 고찰에 함몰, 근로자 특성에 따라 리더의 행동이 다른 결과를 낳는다는 사실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문헌과 지배 상호보완성 이론을 결합하여 1) 지원적 리더십과 근로자 창의성의 긍정적 관계를 가지며, 2) 이 관계는 근로자의 창의 과정 몰입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주장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가 높은 수준의 창의 과정 몰입을 갖고 있을 때, 지원적 리더십이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오히려 근로자 창의성을 저하시키는 역 U자형 관계의 양상을 보일 것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기업에서 근무 중인 187쌍의 리더-부하 근로자들에게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가설 검증하였으며,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지원적 리더십이 창의성 창발에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하 근로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 연구, 리더십 연구 및 지배 상호보완성 이론의 발전을 꾀하였다.

In the modern organizational context, creativity is a key factor for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nd leaders play a crucial role in promoting employee creativity. While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positive impact of constructive leader behaviors on employee creativity, there have been in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supportive leadership on creativity. To address the limitation, integrating the notion of leadership, creativity, and the dominance complementarity theory, we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 of supportive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on employee creativity. Specifically, first, we expec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oaching and employee creativity, with considering leader coaching as a form of supportive leadership. Second, we further posit that this relationship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mploye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In particular, we expect that the association will become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meaning that beyond a certain level, leader coaching may hinder employee creativity. To examine the above hypotheses, we collected the survey data from 187 leader-follower dyads of employees who work in Korean organizations; we found that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With this stud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research on creativity, leadership, and the theory of dominance complementarity.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s and Hypotheses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