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코핀 홈스>의 그로테스크 이미지와 그것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영화는 세 귀신의 비극을 통해 주거의 다양한 사회적 모순을 형상화한다. 귀신에도 계층이 나뉘는데, 상류층은 가족 결속을 위한 집이 오히려 가족 파멸을 초래하는 역설을 보여주고, 중산층은 부동산에 대한 인간의 병적인 집착과 그 허구성을 비극적으로 드러낸다. 빈곤층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머물 곳이 없는 소외계층의 생존 위기를 폭로한다. 영화는 계층적 구분으로 만들어낸 사회비판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이데올로기적 한계를 지닌다. 첫째, 귀신의 도덕성이 경제적 자본과 정비례한다. 이것은 특정 계층에 대한 사회적 편견의 무의식적 재현이다. 둘째, 상류층의 비극을 의도적으로 비중 있게 다룬다. 이것은 하위계층에 일종의 심리적 위안을 심어줄 뿐 아니라, 사회구조 자체에 문제제기할 가능성을 약화시킨다. 셋째, 여성 희생자의 죄목이 모두 ‘남성에 대한 배신’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영화의 남성중심적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며 남성을 동병상련적 유대감으로 묶는 이데올로기 장치로 작용한다. 넷째, 귀신의 제거 대상은 모두 부모 혹은 남성에 대한 사회윤리적 규범을 어긴 인물이다. 이것은 기득권층의 권리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현실 전복을 욕망하지만, 그것이 지향하는 유토피아에는 신자유주의 논리와 자본주의 신화의 굳건함을 보여준다. 즉 영화는 사회불평등을 비판하고자 하는 의도와 달리,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다시 재생산하는 한계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litical unconscious by analyzing the grotesque imagery of Coffin Homes and its symbolic meaning. Through the tragedy of three ghosts, the film represents various social contradictions about housing. The tragedy of the upper-class ghosts illustrates the paradox that a house for family cohesion can lead to family destruction, while the tragedy of the middle class ghosts exposes man’s excessive obsession with real estate. The tragedy of the poor ghost reveals the survival crisis of the underprivileged, who have no place to stay even if they live or die. Despite its social and critical significance, this movie has clear ideological limitations. First, the morality of the ghos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ir economic capital. This is an unconscious social symptom, suggests social prejudice against certain classes. Secondly, the tragedy of the upper class is deliberately weighted. This has the ideological effect of providing a kind of psychological comfort to the lower classes, weakening their chances of challenging the social structure. Thirdly, the female victims are all guilty of ‘betrayal of men’. This reveals the patriarchal ideology of the film and acts as an ideological device to bind men together in sympathetic bonds. Fourthly, the victims killed by the demons all violated “ethical norms that children/women are expected to uphold. This reveals an unconscious fear of the loss of rights of the vested interests. Last but not least, although the film aspires to subvert reality, neoliberal logic and capitalist mythology remain firmly entrenched in the utopia it aspires to. In other words, unlike the intention to criticize social inequality, movies have limitations in reproducing the dominant ideology of their society.
1. 귀신이랑 살래? 노숙할래?
2. 두려움과 웃음의 카니발 그로테스크
3. 부동산 계급사회와 귀신의 상징적 의미
4. 현실에 머문 유토피아
5.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