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부터 4월까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송군과 의성군의 5개 지역에서 자생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새롭게 관찰된 돌말류는 9종으로 2강 5목, 6과 7속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의 명명법, 참고 문헌, 사진, 생태 및 분포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다. 국내 신규 돌말류 9종은 Achnanthes pseudoinflata, Encyonema pergracile, Gomphonema affinopsis, G. germainii, G. submehleri, Hannaea inaequidentata, Halamphora bicapitata, Neidiomorpha binodiformis, Orthoseira dendroteres으로 동정되었다. 조사된 강, 하천, 호수와 연못의 조사된 지역은 종별 서식환경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H. inaequidentata와 O. dendroteres은 유량이 적고, 수심이 얕은 유수역의 환경에서 관찰되었고, 다른 종들은 호수와 연못처럼 반폐쇄적인 정수역의 환경에서 확인 되었다. 새롭게 보고된 9종의 돌말류들은 알칼리성 환경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에 있는 돌말류의 다양성을 강조하며 이 그룹에 대한 추가 연구에 중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conducted a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at 5 sites in Cheongsong-gun and Uiseong-gun in Gyeongsangbuk-do, Korea from March to April 2022. Nine species of diatoms are new to Korea and they are divided into 2 classes, 5 orders, 6 families, and 7 genera. The nomenclature, references, photographs, ec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species are presented here. Nine diatom species are new to Korea, namely Achnanthes pseudoinflata, Encyonema pergracile, Gomphonema affinopsis, Gomphonema germainii, Gomphonema submehleri, Hannaea inaequidentata, Halamphora bicapitata, Neidiomorpha binodiformis, Orthoseira dendroteres, which were identified in 2022, Nine species found in river, stream, lake and pond showed species-specific habitats. H. inaequidentata and O. dendroteres were observed in low-flow, shallow stream, while other species were identified in lake and pond environments. Nine newly reported species of diatoms were investigated to live in an alkaline environ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diversity of diatoms in Korea, which is important for further studies on this group.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