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楊萬里의 작품집 『南海集』에 수록된 嶺南 여정 중에 적은 작품, 특히 1180년 임지로 향하던 2개월간의 여정 속에서 詩材로서의 ‘自然’, 嶺南의 自然을 그렸던 宦遊詩 작품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이 작품들 속에 그려진 남방의 ‘自然’ 형상과 宦遊의 과정 중 느끼는 여행의 당사자 시인의 감회와 심리를 분석하고, 그의 宦遊詩 작품에 그려진 그의 ‘自然’과 그의 詩學 주장을 대조 고찰하였다. 宦遊詩에는 관직을 수여 받아 떠나가는 경우와 貶謫되어 떠나가는 경우 등 시인이 처해있는 조건이나 심리적 상태에 따라 각각 작품 風格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宦遊詩 작품 속에 담겨있는 내용이 여정의 기록과 宦遊之歎의 토로가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양만리의 宦遊詩, 특히 본 논문에서 살펴본 廣東으로 부임하러 가는 길에 지어진 宦遊詩는 自然 묘사의 풍부함, 자연 경물을 바라보는 시각의 특별함, 시어 사용의 평이함 등으로 시적 情趣가 맑고 깨끗하여, 낯선 고장[異鄕]에서 만나는 경치와 감탄 그리고 여정 속 일상 등을 平易하면서도 自然스럽게 묘사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Yang Wanli(楊萬里)'s Official Travel Poetry work(宦遊詩), which drew “Nature” as Poetry Materials during the two-month journey to work in 118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al shape of the south drawn in these works and the emotions and psychology of the poet involved in the trip during the official travel process, and to contrast his “Nature” drawn in them with his poetic claims. In the Official Travel Poetry, the style of the work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r psychological conditions in which the poet is in, such as the case of leaving after receiving an official position and leaving after being registered. Yang Wanli's Official Travel Poetry, especially the Official Travel Poetry which was built on the way to Gangdong, used the richness of nature description, natural scenery, and the cleanness of everyday scenery. Yang Wanli saw that “Traveling far” was the only creative way to write poetry, and that the only source of creation was the beautiful appearance of nature that he experienced while traveling around the mountains and streams. In his eyes, “Rivers and Mountains” not only can help the creation of poetry, but itself is almost the life of the poem, and there is no poem regardless of the shape of mountains, rivers, and rainy and sunny days.
Ⅰ. 들어가며
Ⅱ. 南方宦遊의 旅程
Ⅲ.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