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지역사회학 제2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산업을 통한 지역사회의 연대활동과 글로벌 수산식품 유통 네트워크

Local community solidarity activities through the fishery industry and the global seafood distribution network: focused on Guryongpo

DOI : 10.35175/KRS.2023.24.2.67
  • 87

본고는 구룡포 수산업의 역사적 배경 및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고, 구룡포수산업협동조합 주최의 풍어제와 포항구룡포과 메기사업협동조합 주최의 과메기축제를 중심으로 수산업을 통한 지역사회의 시민연대활동에 대해서 분석했다. 그리고 구룡포 대표적 수산식품의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에 대해서 먼저 신문기사를 통해서 고찰했고 한층 현지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룡포 국외수출업체의 인터뷰로서 과메기 유통네트워크에 대해서 분석했다. 구룡포수산업은 청동기유적 어망추(그물추) 유물출토로 청동기시대부터 거슬려 올라갈 수 있고 특히 구룡포과메기 수산식품의 어종인 청어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가장 중요한 어류자원의 하나였다. 개항이후 일본인들이 한반도지역으로 많은 이주를 했고, 일본인의 이주어촌형성과 이주민정착이 시작되면서 구룡포는 빠르게 변화했다. 해안에 연한 간선도로를 따라 길게 확장되었던 이주민들의 주거단지에는 중요한 기관설비가 갖추어지면서 공동작업장과 어판장, 수산물운반업소, 조선소, 통조림공장, 선구점, 어구점, 창고 등 각종시설들이 자리를 잡았다. 구룡포의 대표적인 어종은 일본인이 통어를 하던 초기에는 삼치와 청어, 정어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청어는 1950년대 이후부터 거의 잡히지 않았고, 중반에 이미 청어를 대신하여 꽁치로 과메기를 만들고 있었다. 꽁치는 1960년대 초에서 1980년대까지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종으로 꼽힐 만큼 많이 어획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어민들은 어로 시에는 풍랑으로 인한 인명피해, 자연재해 등에 대해서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가졌다. 이에 선주협회에서는 어업인들의 안전조업 및 대풍어를 기원해 소득증대를 바라는 어민들의 바람이 실시되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에서 구룡포 풍어제를 개최하였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주협회는 풍어제에 소요되는 경비문제로 난황에 부딪혀 수협에 부탁을 했고 이에 구룡포수협이 2005년부터 4년에 한 번씩 풍어제를 개최한다. 비록 수협주최로 풍어제가 실시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진행과정을 보면 수협과 시민들과의 연대활동을 비롯해서 시민들 간의 연대활동도 다양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구룡포 과메기축제를 통해서도 과메기사업협동조합, 상인, 시민들과의 연대활동이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수산식품의 유통 네트워크에 관한 분석으로서는 먼저 신문기사 보도 자료로서 특징을 고찰했고 좀 더 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룡포 국외수출업체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과메기 수출은 북미나 유럽, 그리고 동남아 등의 지역이 해당되었고, 또 국외수출이 국내 판매보다는 절차부터 시작해서 해외에서의 시식회 및 홍보방법, 다양한 국가로의 유통네트워크 확장, 고객관리, 경제적 비용, 소극적인 정부지원 등 여러 면에서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현재의 실태였다. 이에 포항시를 비롯한 구룡포에서는 수산식품 유통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수산식품 유통 네트워크를 확장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Guryongpo fishery industry, and analyzes the local community’s solidarity activities through the fishery industry, focusing on the big catch festival hosted by the Guryongpo Fisheries Cooperative and the Guamegi Festival hosted by the Pohang Guryongpo Guryongpo Catfish Business Cooperative. In addition, the global distribution network of Guryongpo’s representative seafood was first examined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the Gupaegi distribution network was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Gupyongpo overseas exporters to further understand the local situation. The Guryong Po Fisheries Industry can be traced back to the Bronze Age with the excavation of fishing nets (net weights) in the Bronze Age remains.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many Japanese people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Guryongpo changed rapidly as the Japanese immigrants formed fishing villages and the settlement of immigrants began. In the residential complex of immigrants, which extended along the main road along the coast, important facilities were equipped, and various facilities such as common workshops, fish markets, fishery transport shops, shipyards, canneries, pioneer shops, fishing gear stores, and warehouses took their place. Guryongpo’s representative fish species were mackerel, herring, and sardines in the early days when the Japanese spoke the language. However, herring has not been caught since the 1950s, and in the middle of the year, Gwamegi was already being made with saury instead of herring. From the early 1960s to the 1980s, saury was caught so much that it wa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fish species of the East Coast. However, fishermen always felt uneasy about human casualties and natural disasters caused by storms during fishing. In response, the Shipowners’ Association held the Guryongpo Big Fishing Festival in hopes of fulfilling the wishes of fishermen who wish for safe fishing and a large catch of fish and for income increase. However, as time passed, the shipowners’association ran into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the cost of the festival and asked the Fisheries Cooperative, and the Guryongpo Fisheries Cooperative held the festival every four years from 2005. Even though the festival is being hel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Fisheries Cooperatives, looking at the progress so far,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solidarity activities between the citizens as well as between the Fisheries Cooperatives and the citizens. Also, through the Guryongpo Gwamegi Festival, it was confirmed that solidarity activities with the Gwamegi business cooperative, merchants, and citizens were continuously conducted. Lastly, as for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network of global seafoo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rticles and press materials were review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uppong overseas exporters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s a result, the current reality is that overseas exports are experiencing more difficulties than domestic sales in many aspects, such as procedures, tastings and promotion methods overseas, distribution network expansion to various countries, customer management, economic costs, and passive government support. was Therefore, Guryongpo, including Pohang City, should strive to expand the global seafood distribution network so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improvement can be made inconsider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seafood distribution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Ⅰ. 서론

Ⅱ. 구룡포 수산업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Ⅲ. 구룡포 풍어제와 과메기축제를 통한 시민연대활동

Ⅳ. 글로벌 수산식품 유통 네트워크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