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지역사회학 제2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강원도 원주 치악산 구룡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ilitating Strategy for the Templestay Program at Guryongsa Temple in Mt. Chiak, Wonju, Gangwon-do: Focusing on Walking Meditation

DOI : 10.35175/KRS.2023.24.2.103
  • 152

본 연구는 치악산 구룡사 템플스테이 참여자를 대상으로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2011; Hill et al, 2005)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구룡사 걷기명상에서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 둘째,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의 다른 점은 무엇인가? 셋째,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에서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구룡사 템플스테이에 대한 기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내가 하게 될 경험에 대한 기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기대’, ‘나와 타인의 관계에 대한 기대’, ‘구룡사에 대한 기대’ 4개 영역에서 1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구룡사 템플스테이의 차별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차별화된 사찰 환경’, ‘명상을 촉진하는 자연 환경’, ‘특화된 프로그램’의 3개 영역에서 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구룡사 템플스테이에서의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 ‘나’에 대한 경험’, ‘ ‘타인’과 관계를 통한 경험’, ‘ ‘명상’을 통한 경험’, ‘ ‘구룡사’에 대한 경험’, ‘ ‘불교’에 대한 경험’의 5개 영역에서 1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구룡사의 특성에 맞는 템플스테이 걷기명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experience targeting the templestay participants at Guryongsa Temple in Mt.Chiak and to examine how to utilize it. This stud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2011; Hill et al, 2005).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what do you expect from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Second, what is different about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Third, what did you experience during the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ctations for Guryongsa Templestay, 10 categories were derived in 4 areas: ‘Expectations of the experiences I will have’, ‘Expectation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Expectations of relationships between myself and others’,‘Expectations of Guryongsa Templ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tiating elements of Guryongsa Templestay, six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areas: ‘differentiated temple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that promotes meditation’, and‘specialized program’.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at Guryongsa Templestay, 17 categories were derived in 5 areas: ‘Experience of ‘I’ ’, ‘Experience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 ‘Experience through ‘Meditation’ ’, ‘Experience of‘Guryongsa’ ’, ‘Experience of ‘Buddhism’’. The abov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Guryongsa Templ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