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타(sphoṭa)라는 용어는 Mahābhārata, Aṣṭādhyayī 등에 등장하지만, 파탄잘리의 Mahābhāṣya에서 처음 의미론적 해석이 체계화되었다. 스포타는 문법학에서는 발성이 가지는 의미의 단위를 나타내고 음소 스포타, 단어 스포타, 문장 스포타 등이 있다. 바르트리하리는 화자의 의미 전달의 최종적 단위를 문장 스포타로 보고 그것만을 인정한다. 즉 화자가 특정한 문장을 발성하는 것은 그것의 스포타에 의한 것이고, 청자는 그 문장을 듣고 자기 내면으로부터 똑같은 스포타가 일어난다고 한다. 따라서 문장 스포타는 화자나 청자,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는 영원하고 보편적 실재으로서 언어학적으로 ‘말의 의미’에 해당한다. 서론에서는 인도 사상에서 말소리, 의미, 대상의 관계에 관한 사유 방법을 개설한다. 본론에서는 아스티카(āstika) 계열에서의 스포타 개념의 발달사를 간략하게 살피고, 스포타 개념의 인도 사상사적 위치와 그에 대한 반론으로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의 의의를 가늠한다. 나아가 바르트리하리의 스포타와 말소리의 관계에 관한 설명과 비유를 Vākyapadīya의 주요 시절들을 통해서 살펴보고 스포타가 가지는 철학적 의미를 해석한다. 디그나가의 아포하(apoha) 이론에서는 말소리의 보편(śabde sāmānya)과 의미의 보편(arthe sāmānya)을 부정하는 논지를 Pramāṇasamuccayavṛtti V 초반부를 중심으로 살펴 그 철학적 의미를 해석한다. 이상과 같은 바르트리하리 스포타와 디그나가 아포하의 의미론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본고는 인도 사상에 있어 ‘말의 의미’, 즉 ‘본체-말-대상’의 관계를 둘러싼 두 가지 해석의 차이점과 그 원인을 담론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은 스포타 이론으로 대변되는 종래의 형이상학에 기반을 둔 실재론적 언어관을 현상학적 언어관으로 전회한 것으로 본다.
The theory of sphoṭa (burst of sound) appears in Mahābhārata and Aṣṭādhyayī, but it was first systematized in Patañjali's Mahābhāṣya. In grammar, sphoṭa is a unit of meaning that is possessed by utterance. There are phoneme (varṇa) sphoṭa, word(pada) sphoṭa, and sentence (vākya) sphoṭa etc. Bhartṛhari just only acknowledged sentence sphoṭa which holds that the sentence is the final unit of meaning conveyed by the speaker. In other words, when a speaker speaks a particular sentence, it is due to the sphoṭa of that sentence. When a listener hears that sentence, the sphoṭa of that sentence arises in her or his mind. Therefore, sentence sphoṭa is a permanent and universal concept for the meaning of speech that is not limited by the speakers, listeners, time, or spac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meaning, and object, and notes that in āstika, sphoṭa is interpreted as a concept of the power of Brahman. Furthermore, in Bhartṛhari's theory of semantics on sphoṭa, the paper examines his view that a word denoting a universal (jātiśabda) can be applied to individual reality in some verses of Vākyapadīya. On the other hand, Dignāga’s exclusion of other referents (anyāpoha) theory, which can be seen as a counterpart to the concept of sphoṭa, examines the argument that denies the universality of sound (arthasāmānya) and meaning (śabdasāmānya) in the early part of Pramāṇasamuccayavṛtti V. As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semantics surrounding universals between Bhartṛhari's sphoṭa and Dignāga's apoha, it concludes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of language could lead to conflicting understa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nd phenomenon in Indian thought. Therefore, the transformation from sphoṭa to apoha on the conception of unversal could be considered the linguistic turn of Indian philosophy.
Ⅰ. 서론
Ⅱ. 인도 사상에 있어 말소리, 의미, 대상
Ⅲ. 바르트리하리의 스포타(sphoṭa) 의미론
Ⅳ. 디그나가의 아포하(apoha) 의미론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