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 일지에서 살펴본 노티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in their journals
- 한국학교수학회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제22권 제1호
-
2019.0363 - 80 (18 pages)
-
DOI : 10.30807/ksms.2019.22.1.004
- 30

본 연구는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생에 대한 노티싱을 살펴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4명의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중학교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하고 작성한 일지를 조사하였다. 일지에 나타난 학생에 대한 노티싱은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기초로 하여 알아차리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은 대체로 학생에 대한 일반적인 알아차리기가 많고 수학적 사고에 대한 해석하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반응하기에서는 질문을 통한 학생의 사고 촉진보다는 학생들에게 설명하기가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등예비수학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oticing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journals of fou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ur analysis was based on a framework including three categories such as Aware, Interpret, and Response. As results, we found a tendency that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ve more general awareness of students and relatively fewer interpretations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an other categories. In addition, in the category of Response, the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explain to students than to promote students' thinking through qu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discuss implications fo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