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2022 revised elementary Korean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Focusing on 1st and 2nd grade Korean textbook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17호
-
2023.09533 - 543 (11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17.533
- 58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기술하는 데 있다. 새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변화를 추동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새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해 Schwab(1973)의 4가지 공통 요소인 교과, 학습자, 교사, 환경 차원에서 분석하여 새 교과서의 개정 중점과 새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계와 전개 방식을 제시하였다. 결과 새 교과서의 개정 중점은 교과 차원에서는 국어 교과의 고정성과 생성성을 반영한 교과서, 학생 차원에서 학생 주도성을 강화한 교과서, 교사 차원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을 보장하는 교과서, 환경 차원에서 언어 매체 한경과 가상 환경을 포괄하는 교과서이다. 『국어』의 단원 구성 체제는 준비 → 소단원 1, 소단원 2 → 실천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국어 활동』은 실력 키우기 → 스스로 읽기로 구성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새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새 교과서의 개발 중점은 교과, 학습자, 교사, 환경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새 교과서의 단원은 대단원 구성 체제이며, 단원 구성 유형은 목표 중심형과 텍스트 중심형의 혼합형이다. 그동안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유형은 1987년 5차 교육과정기의 국어 교과서 이래로 2015개정 교육과정기의 국어 교과서까지 약 40년간 목표 중심형이었다. 그러나 이번 2022개정 국어 교과서의 단원 구성 유형은 목표 중심형과 텍스트 중심형의 혼합형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단원 구성의 변화는 초등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측면에서 큰 변화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text 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ew textbooks will help drive chang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chwab (1973)'s four common elements of development were analyzed in terms of subject, learner, teacher, and environment, and the new textbook's revision focus, unit composition system and development method were presented. Results The focus of revision of new textbooks is textbooks that reflect the fixedness and creation of Korean subjects at the subject level, textbooks that strengthen student initiative at the student level, textbooks that guarantee teacher autonomy in operating the curriculum at the teacher level, and language media Hankyung and Hankyung It is a textbook that covers a virtual environment. The structure of 『Korean』 is composed of preparation → sub-unit 1, sub-unit 2 → practice. And 『Korean Activities』 consisted of skill development → self-reading.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w textbook's revision points and unit composition system were presented. The unit of the new textbook has a unit structure, and the unit structure type is a mixture of goal-centered and text-centered types. in the meantime the unit composition type of Korean textbooks has been goal-centered for about 40 years, from the Korean textbook of the 5th curriculum period in 1987 to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eriod. However, in this 2022 revision Korean textbook, the unit composition type has been changed to a mixed type of goal-centered type and text-centered type. changed to a mixed type. This change in unit composition is a big change in the historical aspect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Ⅰ. 서론
Ⅱ. 새 교과서의 개정 중점
Ⅲ. 『국어』의 단원 구성 체제
Ⅳ. 『국어 활동』의 단원 구성 체제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