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자해’관련 유튜브 댓글의 내용분석
Analysis of YouTube comments related to ‘self-harm’ using topic modeling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16호
-
2023.08449 - 466 (18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16.449
- 29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해’관련 유튜브가 자해를 하지 않는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 자해를 하는 이들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조력방법을 찾기 위해 유튜브 동영상 댓글을 수집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튜브에서 ‘자해’ 키워드를 검색하여 도출된 상위 9개의 영상에 달린 댓글을 수집하였고, 이 중 자해 경험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 이용자의 댓글을 토픽모델링 하여 10개의 토픽을 도출하였다. 토픽모델링은 빅데이터를 분석한 통계를 기반으로 그 안에 숨겨진 주제를 찾아내는 분석방법이다. 결과 선정된 토픽의 주제는 ‘자해를 하는 사람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도록 공감과 위로가 필요함’, ‘몸에 난 흉터를 걱정하는 자해를 하는 사람에 대한 염려와 불편감’, ‘자해에 대한 신앙적 해결책 제시’, ‘자해를 사회적 문제로 보고 대안방법을 함께 모색해야 함’, ‘자해를 하는 사람의 주변인이 할 수 있는 반응을 알려줘서 감사함’, ‘청소년기에 경험했던 자해와 관련된 자기 경험이 떠오름’, ‘자해에 대한 안전하고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함’, ‘자해를 다루는 어른들의 모습’, ‘자해 사진을 올리는 것에 대한 반응’, ‘타인의 자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자각함’이다. 결론 ‘자해’관련 유튜브에 달린 댓글에서는 자해를 하는 이들을 공감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노력과 조력행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자해 흉터에 대해서는 걱정과 염려가 동시에 나타났는데 힘든 마음은 이해하지만, 자해 행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10개의 토픽 내용을 통해 자해를 하는 이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YouTube video com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firm the impact of YouTube related to “self-harm” on those who do not self-harm and to find effective ways to help those who do self-harm. Methods To this end, comments on the top nine videos derived by searching for the keyword “self-harm” on YouTube were collected, and 10 topics were derived by topic modeling comments from users who did not seem to have self-harm experience. Topic modeling is an analysis method that finds hidden topics based on statistics that analyze big data. Results The topics of the selected topics are “You need empathy and comfort to help self-inflicted people live in the world.”, “Concerns and discomfort towards self-harming people who worry about scars on their bodies.”, “Presenting a religious solution to self-harm.”, “We should consider self-harm as a social problem and find alternative ways together.”, “Thank you for telling me the reactions that people around you can do.”, “I remember my experiences related to self-harm that I experienced in my adolescence.”, “Need safe and professional counseling on self-harm,” “The way adults deal with self-harm.”, “Reaction to posting self-harm photos.”, “to be aware of on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others' self-harm.”. Conclusions In the comments on YouTube related to “self-harm,” users' efforts and supportive actions to sympathize with and understand those who harm themselves were confirmed. On the other hand, concerns and concerns about self-harm scars appeared at the same time, and although I understand the hard feel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gative opinion on self-harm behavior. Finally, we proposed a way to help those who harm themselves through the contents of 10 topic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