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의 입지와 구조를 분석하고 변천양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집수시설의 附屬 유구를 통해 성내 排水體系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은 신라가 축성한 성곽에서 7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축조‧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평면 – 방형(◇) + 단면 – 사면형에서 평면 – 방형, 원형, 말각다각형 + 단면 – 수직형, 계단형으로 변화하는 양상이다. 특히 평면 ‘◇’ 형태의 집수시설은 남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양상으로 성내의 土壓과 水壓을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내 배수체계는 집수시설과 수원관리시설의 조합양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배수체계는 도수로 → 보호석축 → 배수로 → 부석시설 → 집수시설 → 여수로 → 수구(성벽) 등의 순차적인 방식을 택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주로 성곽 내 하단의 계곡부에서 확인된다. 이곳에 축조되는 집수시설은 성내 계곡부로 집중되는 수원을 저장하는 기능뿐 아니라, 유속을 낮추고 地盤의 연약화를 방지하여 성벽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한편 축성 이전의 저습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집수시설을 먼저 축조하여 지반을 안정시키는 공정도 고려되었을 것이다. 이처럼 집수시설은 성곽 내에 축조되는 개별 유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축성 계획 및 공정 단계에서 고려되는 중요시설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집수시설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성곽의 축성과 운영 그리고 경영변화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location,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dentified in the fortress adjacent to the Namhan River basin.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fortress's drainage system by exploring the related remain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around the 7th century by Silla. It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square or rectangular (◇) planar forms with diagonal cross-sectional shapes, to square, rectangular, or circular planar forms with vertical or stepped cross-sectional shapes. The unique rectangular shape (◇) is particular to this region. This modification appears to be meant to withstand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more efficiently. The drainage system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closely linked to a water source management facility. This system comprises several components, including an aqueduct, protective stonework, drainage channel, pumice stone facility, water collection facility, spillway, and drainage hole (fortress wall). This mechanism is typically found at the bottom of a fortification, on a slope.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here not only reserves collected water in the valley but also slows the flow of water to prevent ground erosion and protect the fortress wall. Building a water collection facility first could have been considered to enhance the moist conditions of the low-lying area and stabilize the foundation. The water collection system in a fortress should be viewed as an essential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rather than as a separate facility created within a fortress. Therefore,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water collection system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changes of a fortress.
Ⅰ. 머리말
Ⅱ. 남한강유역 집수시설의 발굴사례
Ⅲ. 남한강유역 집수시설의 구조와 변천
Ⅳ. 남한강유역 성내 배수체계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