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현대사회와 행정 第33卷 第3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차별인식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Relevant Factors of Social Withdrawal and Longitudinal Changes amongst Multiethnic Adolescents

DOI : 10.26847/mspa.2023.33.3.1
  • 14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발달과 올바른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떠한 정책 처방이 필요한가를 규명하고자 차별인식이 이중문화(한국&외국)수용태도를 매개하여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동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해당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 패널 1차 자료 중 2012년~2016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차별인식이 높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일수록 사회적 위축이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그들이 성장하면서 받는 차별인식은 사회적 위축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전반적으로 차별인식이 높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일수록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초기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일수록 초기 사회적 위축은 높았으며, 성장하면서 취하는 이중문화문화수용태도 또한 사회적 위축 변동과 부(-)의 영향 관계를 보였다. 넷째, 매개변수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초기 차별인식과 초기 사회적 위축 간 관계와 차별인식 변동과 사회적 위축 변동 간 관계에서 간접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대국민 다문화 교육 및 정책 PR로 사회 내 다문화에 대한 공감 능력을 높여야 한다. 둘째, 정부는 소외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 및 대책 마련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우선으로 이해하는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dynamic relationship of affect discrimination perception on social withdrawal by media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we used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crimination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withdrawal in the early stage. However,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social withdrawal they received as they grew 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cond, overall high level of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showed a low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both foreign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ir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in the early stage had a negative effect on high level of social withdrawal, and the acceptability attitude they took while growing up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withdrawal. Four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titudes showed indirect effects between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social withdrawa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public education and policy PR for enhancing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s and measures to support underprivileged multiethnic adolesc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

Ⅲ. 활용 변수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