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내 적극행정의 내·외재적 선행요인에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Intrinsic and External Factors for Proactive Administration: With a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적극행정은 대국민적 서비스 제공의 향상이라는 대내적 임무나 사명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회에서 정부 역량 강화 측면에서도 강조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이에 구성원들의 동기나 인식, 태도 등을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내재적 요인으로 공공봉사동기, 공직만족도, 조직몰입을, 외재적 요인으로 보수보상인식, 후생복지인식, 업무지원인식으로 구성하여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업무자율성과 변혁적리더십이 이러한 영향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적 요인으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외재적 요인으로 보수보상인식과 후생복지인식이 적극행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봉사동기와 변혁적리더십, 보수보상인식과 변혁적리더십, 공직만족도와 업무자율성, 보수보상인식과 업무자율성의 상호작용항이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적극행정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적극행정 정책의 활성화를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공직사회 분위기를 형성 및 확대하려는 대한민국 정부의 전략에 발맞춰, 구성원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을 내·외재적으로 구분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조직관리적 차원의 변수들의 상호작용항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정책적, 실무적 함의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roactive administration is important in that it is emphasized not only in terms of the internal mission for providing improved services to the public, but also in terms of strengthening government capabilities in the global society. Accordingly, public officers' motives, perceptions, and attitudes were divided into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nd the impact on proactive administration was analyzed by intrinsic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public service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external factors; recognition of remuneration, welfare and work support. In addition, it tried to delve whether work autonom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trol this relationship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reveal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intrinsic factors, and remuneration recognition and welfare recognition as extern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cross-level interactions of 1)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 remuneration recogni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3) public office satisfaction and work autonomy, 4) remuneration recognition and work autonomy showed meaningful moderating effects on active administration. This study tried to shed light o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factors related to public officers with internal and external viewpoints,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variables, as well as providing major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result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연구가설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