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고전소설 <홍길동전>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만든 ‘율도국을 건설하라’ 콘텐츠 제작에 관한 것이다. ‘율도국을 건설하라’는 필자가 리얼월드 플랫폼을 이용해 만든 콘텐츠로, 본고에서는 게임 플랫폼의 구성과 기능, 이야기 구성과 게임 유형, 콘텐츠 효과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리얼월드 플랫폼의 구성요소와 편집 기능에 관해 살펴보았다. 리얼월드 플랫폼은 크게 테마 편집, 미션 편집, 아이템 편집, 챗봇 편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테마 편집에서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작업할 수 있으며, 미션 편집에서는 전체 테마를 만들고 각 테마에 들어갈 이야기를 구성하고 게임을 만들 수 있다. 3장에서는 ‘율도국을 건설하라’의 이야기 구성과 게임에 관해 고찰하였다. ‘율도국을 건설하라’는 총 21테마로 구성되었다. 미션 수행을 위해 만든 게임으로는 한글모스부호를 이용한 게임, 도형을 암호화한 게임, 퍼즐을 이용한 게임, 쪽지에 적힌 숫자의 비밀을 알아내는 게임, 마방진을 응용한 숫자 게임, 그림에서 숨은 정답을 찾는 게임, 이야기 내용에서 정답을 찾는 게임, AR 기능을 이용한 게임 등이 있다. 4장에서는 ‘율도국을 건설하라’의 효과에 관해 분석하였다. 게임 참가자는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중학생>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며, 구글 설문지 조사결과 <홍길동전>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율도국 건설 과정과 의미, 등장인물의 신분과 이름, 조선시대 신분제도의 이해와 더불어 시묘살이, 삼강오륜, 병조판서, 부위자강과 같은 낱말의 자세한 설명으로 어휘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율도국을 건설하라’처럼 다양한 콘텐츠 제작의 시도로 고전문학이 기술과 접목한다면 고전문학은 퇴보의 길이 아닌 일상 속에 자리 잡아 대중과 함께 즐기는 향유의 문학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creation of educational content titled “Build Up the Yuldo Nation”, which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stody from the classic novel <Honggildongjeon> “Build Up the Yuldo Nation” is an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by the author of this paper using a real-world platform. This paper examines the composition and features of the gaming platfor, the narrative structure, game type and the educational inpac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apter 2 investigated the components and editing functions of the Real World platform which consists of four main components like theme editing, mission editing, item editing and chatbot editing. In theme editing, users can manipulate the visual aspects of the content. In mission editing, one can create an overarching theme structure the stories within each theme, and develop the gameplay elements. The chapter 3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games within “Build Up the Yuldo Nation” which is comprised of a total of 20 themes. The game created for mission completion encompass a variety of challenges, including games utilizing the Korean Morse code, shape-based encryption, puzzles, deciphering secrets hidden in notes, numerical games based on magic squares, finding hidden answers within images, locating answers within the story content, and games incorporating augmented reality (AR) functionality. The chapter 4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aspects of “Build Up the Yuldo Nation”.People of different ages, from high school to college students and even adults, played the game. The questionaair revealed that it helped them understand the story of <Honggildongjeon> better. They learned things like the vocabulary used in the game and details about the characters and the society in which the story is set.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classic literature, like <Honggildongjeon> is combined with technology to create engaging content, it can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and be enjoyed by a wider audience, instead of fading away.
1. 서론
2. 게임 플랫폼의 구성과 미션 편집 기능
3. ‘율도국을 건설하라’ 이야기 구성과 게임
4. 콘텐츠의 효과 분석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