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독립잡지의 개념 규정 및 유형화 연구

Research on concept regulation and typification of licensed magazines

  • 36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112호.JPG

이 연구는 독립잡지의 개념을 규정하고, 세부적으로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립잡지 발행인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유통 중이거나 폐간된 독립잡지 300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복합적 특성을 가진 독립잡지를 단일하게 개념규정 할 수 없지만, 주제, 발행처 유형, 발행주기, 콘텐츠 내용, 제작방식, 광고, 발행부수, 유통방식, 잡지 판형으로 독립잡지의 개념을 교차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독립잡지의 유형은 크게 발행주체와 주제로 구분할 수 있다. 발행주체는 1인, 단체·소수그룹, 잡지·출판, 복합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주제 유형은 총류, 예술, 문예, 사진, 디자인, 일러스트, 만화, 라이프스타일, 사회문화, 서브컬쳐로 세분할 수 있었다. 끝으로 독립잡지 발행주체들이 복합적 흐름으로 잡지를 발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의 의의는 아직 국내에서 진행되지 않은 독립잡지에 대한 실증적 개념과 유형을 밝혀 관련 기초자료 및 근거를 제시한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and categorize the concept of independent magazines in detail.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dependent magazine publishers, and 300 cases of independent magazines that were in currently circulation or closed were analyzed. First, the research results cannot single-concept independent magazines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but the concept of independent magazines can be explained cross-sectionally by subject, publisher type, publishing cycle, content content, production method, advertisement, circul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magazine edition. Second, the types of independent magazin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ublishers and topics. The publisher could be categorized into one person, group, minority group, magazine, publication, and complex, and the subject type could be subdivided into total class, art, literature, photography, design, illustration, cartoon, lifestyle, social culture, and subculture.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independent magazine publishers are publishing magazines in a complex tre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mpirical concepts and types of independent magazines that have not yet been conducted in Korea, and to present related basic data and evidence.

1. 서론

2. 독립잡지의 특성과 차별성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