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K-pop을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이해하는 매체적 관점을 도입해 그것의 단계별 특성변화를 중심으로 과거, 현재, 미래를 고찰한다. K-pop은 1980년대 컬러텔레비전과 음악전문채널에의한 시각적 전환, 1990년대 PC통신과 인터넷에 의한 수용자적 전환, 2000년대 아이튠즈, 유튜브 등디지털 플랫폼에 의한 디지털적 전환, 2020년대 VR, AR, XR, 메타버스, 인공지능 등 뉴미디어에 의한가상적 전환으로 대표되는 일련의 매체전환을 겪으며 장르적 확장을 거듭해왔다. 문화사와 매체사를 관통하는 역사적 동시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K-pop이 1990년대 이후 급변해온 미디어 기술환경 속에서새롭게 탄생한 장르이며, 그것은 비단 음악에만 머무르지 않고 퍼포먼스, 영상, 이미지, 패션, 스타일,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망라하는 융복합 장르로 확장되어, 오늘날의 한류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이른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K-pop의 다양한 특성들을 체계적으로 논의하는것이 가능하며, 그 역사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해 미래 확장성을 예측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 media perspective that understands K-pop as a new media communication process and examines its historic changes. K-pop has expanded its genre through a series of new media technology turns represented by visual transformation by color television and music channels of cable television in the 1980s, acceptable transformation by PC communication and the Internet in the 1990s, digital transformation by digital platforms such as iTunes and YouTube in the 2000s, and virtual transformation by virtual and AI media such as VR, AR, XR, and Metaverse in the 2020s. K-pop is a genre that has been newly created in a rapidly changing media technology environment since the 1990s, and it has expanded to a convergence genre that encompasses performance, video, image, fashion, style, and digital communic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iscu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K-pop in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ethodology and it is expected to help predict future scalability through a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history.
1. 서론
2. 컬러텔레비전과 음악전문채널에 의한 시각적 전환
3. PC통신과 인터넷에 의한 수용자적 전환
4. 아이튠즈와 유튜브에 의한 디지털적 전환
5.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미디어에 의한 가상적 전환
6.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