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융합교육연구 제9권 제2호.jpg
학술저널

영유아교사의 자연친화적 놀이에 대한 인식과 실행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Nature-Friendly Play by Early Childhood Teachers: Centered on childcare teachers in Sejong City

DOI : 10.69742/cer.2023.9.2.33
  • 48

이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보육교사 중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연친화적 놀이의 개념과 목적 및 목표, 교사의 역할과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놀이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지역 내에 소재한 34개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275명의 영유아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연친화적 놀이에 대한 개념과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배경에 따른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종특별자치시 보육교사들은 자연친화적 놀이의 개념과 목적 및 목표에 대한 중요하게 인식하고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현장 속에서 실행 또한 높았다. 하지만 자연친화적 놀이의 적용에 있어 중요도의 인식과 현장적용의 실제 부분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가 자연친화적 놀이를 인식하는 부분과 현장 속에서 실행하는 부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연친화적 놀이를 계획하고 지원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concept, purpose and goal of nature-friendly play, teacher's role and application, targeting homeroom teachers among childcare teacher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5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34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jong City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nature-friendly pla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cept and purpose of nature-friendly play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care teacher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purpose and goal of nature-friendly play, recognized it as important in the teacher's role, and had high performance in the field. However, in the application of nature-friendly play,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the actual part of field application were low.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t in which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nature-friendly play and the part in practice in the fiel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se results,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plan and support efficient nature-friendly pla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론 및 제언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