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융합교육연구 제9권 제2호.jpg
학술저널

대학입시 학교생활기록부 생성에 대한 교사들의 문제의식 고찰

An Investigation on Teachers’ Awareness of the Problems in School Report Documentation for College Entrance

해방 후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는 총 16차례 대변화를 거쳤다. 그리고 현재는 대학입시의 두 방향은 수능 중심의 정시와 학생부 전형 중심의 수시로 나뉘어진다. 학생부 중심의 수시는 다시 학생부 교과전형과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나뉘어진다. 이 중 학생부 종합전형은 입학사정관 제도가 여러 변화를 겪으면서 최종 확정되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하나는 학교생활기록부가 얼마나 정직하게 생산되는가이고, 다른 하나는 학교생활기록부가 얼마나 정직하게 평가받는가이다. 본 논문은 전자에 해당하는 학교생활기록부 생산의 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문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일선 학교현장에서 직접 진학지도를 하는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생활기록부 생산에는 공정성 측면, 비교육적 측면, 학생 변별력 측면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적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평가를 기록하는 학교생활기록부 생산의 일체화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fter liberation, Korea's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underwent a total of 16 major changes. And now, the two directions of college entrance exams are divided into regular exams centered on the CSAT and frequent admissions centered on student records. Student department-centered admissions are again divided into student department curriculum screening and student department comprehensive screening. Among them, the comprehensive selection of student records was finalized as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underwent several changes.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wo aspects. One is how honestly school records are produced, and the other is how honestly school records are evaluated. This paper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f problem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chool records corresponding to the former.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directly provide guidance in school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many problems in the production of school records, such as fairness, non-educational aspects, and student discrimin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ntegrate the production of school records that record curriculum, lessons, and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

Ⅰ. 연구의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학생부 종합전형을 위한 학생부 생성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