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융합교육연구 제9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고등학교 교사의 융합교육에 관한 실천적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 School Teachers

DOI : 10.69742/cer.2023.9.2.103
  • 95

본 연구는 융합교육을 활성화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교사가 융합교육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동기는 무엇인가?’‘융합교육을 기획하는 절차는 어떠하며, 핵심 원리는 무엇인가?’ ‘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나타난 난점은 무엇이며,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전락은 무엇인가?’라는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고등학교 교사가 융합교육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동기는 융합교육이 교수법을 향상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는 공통적인 인식이 있었다. 현장 교사들의 평가는 융합교육이 다양한 관점과 열린 사고, 학문적인 소통을 촉진한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응답은 융합교육의 폭넓은 시행을 위해서는 융합교육의 장점에 대해 먼저 교사가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 실제로 융합교육을 수행한 교사들에 대한 사전 면담의 결과 주제, 탐구, 표현의 유기적 연계와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추구하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세부적인 절차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오히려 이러한 다양성이 교사와 학생들이 교과에 맞추어 다양한 융합교육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융합교육 실행의 난점으로는 크게 교사 인식, 융합 방법, 학교 환경, 제도 차원의 난점이 있었다. 그 외, 학교 환경의 어려움, 교육자원의 부족과 재정적인 한계, 행정절차의 어려움, 분산된 자료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융합교육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여건과 토대가 충분하게 마련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좋은 수업을 위한 전략과 구조극복을 위한 전략이 발견되었으며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발굴, 협업의 증대, 예산에 대한 전략 등을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e researcher based her analyses on three questions: “What are the backgrounds and motivations for high school teachers to begin convergence education?”; “What are their procedures and core principles of planning convergence education?”; “What are their problems with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ir strategies to overcome them?” The background and motivation for high school teachers to begin convergence education were their common perception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enhancing teaching methods and giving effective lessons. Convergence education would facilitate diverse perspectives, open thinking, and academic communication according to assessments by field teachers. These responses imply that teachers should clearly perceive the advantages of convergence education before its broad implementation. The pre-interviews with teachers who actually implemented convergence education reveal that they had different ideas of detailed procedures despite their common pursuit of organic connections among topics, inquiries as well as expressions and changes to practical knowledge. This diversity seems to be the driving force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plan and implement divers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subject. Finally,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dimensions of teachers' perceptions, methods of convergence, school environment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re were a shortage of and financial limitations of educational resources, difficulties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distributed materials, which means that there weren’t enough conditions or foundations for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These limitations could be overcome by strategies for good lessons and strategies to overcome the structure. Active and creative ideas, promotion of cooperation, and budget strategies could also make a contribu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