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화형 생성 AI(인공지능)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연구

Korean speaking study using conversational generative AI(artificial intelligence) ChatGPT: Based on role-playing, from using Talk-to-ChatGPT to utilizing AIPRM-for-ChatGPT

  • 1,99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8호.jpg

목적 실시간 양방향 음성 말하기 연습 기능을 갖춘 대화형 생성 AI인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역할극 중심연습 방법 개발과 프롬프트 생성을 통하여 흥미롭고 유익한 AI 말하기 교육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AI에 적합한 말하기 활동으로 ‘역할극’을 선택하고, 역할극을 수행할 대화형 생성 AI를 ‘ChatGPT’로 선정한 기준을 살펴본다. ChatGPT가 이해하기 쉽고 한국어 교원과 한국어 학습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프롬프트를 제안한다. 실제 사용 예와 ‘말하기 역할극을 수행하기 위한 3가지 방법’도 제안하여 언제 어디서든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말하기 도구로 사용할 대화형 생성 AI 1개를 선정한 기준과 그에 맞는 적절한 직관적인 프롬프트와 역할극을 수행할 3가지방법을 예시로 보았다. 역할극으로 모든 주제가 가능하며, ‘역할극 부여’라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 ChatGPT에게 ‘역할극’이 말하기 연습으로 최적이며, ‘학습자 중심적인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실제로 학습자들이 사용해봄으로써 사용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교실 안에서 활용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결론 정보화시대에 실시간 양방향 음성 한국어 말하기 연습을 위한 AI 교육 도구의 선정과 활용 가능성을 보았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혁신과 효과적인 교육 방법 제안을 통하여 기술과 교육의 융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기대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o provide an interesting and informative AI speaking training tool by developing a role-play-based practice method and generating prompts for Korean speaking training using ChatGPT, an interactive generative AI with real-time two-way voice speaking practice. Methods I look 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role-playing’ as a suitable speaking activity for an AI, and for selecting ChatGPT as the interactive generative AI to perform the role-playing. ChatGPT suggests intuitive prompt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and easy for Korean teachers and Korean learners to use. It also suggests real-world examples and “3 ways to conduct speaking role-plays” to make it easy and comfortable to use anytime, anywhere. Results I looked 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one interactive generative AI to use as a speaking tool, the appropriate intuitive prompts for it, and three ways to role-play. I found that role-playing can be done on any topic, and that ChatGPT, with its basic function of “assigning role-plays,” is the best tool for speaking practice and is learner-centered.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tool was demonstrated by learners using it in practice. I also suggested ways to use it in the classroom. Conclusions In the information age, I saw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and utilizing AI educational tools for real-time two-way voice Korean speaking practice. Through innov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new possibilities and expectations for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