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남고고학 제9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동기시대 주거의 증축과 사회경제적 의미

Bronze Age House Extension and Socioeconomic Significance

DOI : 10.47417/yar.2023.97.5
  • 109

남한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면적분포를 보면 전시기에 걸쳐 초대형~소형까지 면적분포가 다양하다. 후기가 되면 대형주거지가 사라지기는 하지만, 후기의 취락에서도 여전히 주거지의 면적이 일률적이지 않다. 이는 주거지의 증축이 전시기에 걸쳐 일상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고자료에서 조기~후기까지 전시기에 걸쳐 중측 주거지가 많이 확인되며, 증축 패턴이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조기에서 후기까지 최소 주거지 면적은 크게 변화가 없으나 최대 증축 한계 면적이 조기는 200㎡, 전기는 80㎡, 후기는 60㎡ 정도이다. 이에 따라 가족 규모를 추산하면 조기의 가족규모는 2~50인, 전기에는 2~40인, 후기에는 2~12인 정도이다. 이렇게 시기에 따라 증축 패턴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조기~전기 ‘대가족 공동 거주’,에서 후기 ‘세대별 독립 거주’라는 거주 방식의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것이다. 그리고 ‘협업과 노동집약화’가 ‘대가족 공동거주’를 요구하는 사회경제적 배경이며, ‘생산단위의 분화와 세대의 자립성 강화’가 ‘세대별 독립거주’를 요구하는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해석된다.

Looking at the area distribution of South Korean Bronze Age dwellings, the area distribution varies from very large to small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Large residential areas disappear in the later period, but the area of residence is still not uniform even in the villages in the later period. This means that the extension of dwellings was common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In the archaeological data, many dwellings that have been interpolat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from the early to the late period are identified, and the expansion patterns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from the early stage to the late stage, but the maximum extension limit is 200㎡ in the early stage, 80㎡ in the early stage, and 60㎡ in the late stage. According to this, the family size is estimated to be 2 to 50 people in the early stage, 2 to 40 people in the first half, and 4 to 12 people in the later stage. The difference in expans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period reflects the social demand of the residence style, from the early to early ‘large family joint residence’ to the later ‘generational independent residence’. In addition, ‘collaboration and labor intensification’ is interpreted as a socio-economic background that requires ‘large family co-residence’, and ‘differentiation of production units and strengthening of household independence’ are interpreted as a socio-economic background that requires ‘independent residence by household’.

Ⅰ. 머리말

Ⅱ. 증축 사례 검토

Ⅲ. 주거지 증축의 사회적 의미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