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동북형석기’는 석기 자체의 특이한 형태와 분포상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극히 미진하여 용도나 기능에 대해 정확히알려진 바가 없다. 유물의 명칭 또한 지역명이 포함된 미봉책으로 사용되고 있고 국내 보고문에는 현재에도 ‘주걱칼, 異形石刀’ 등혼란이 많기 때문에 재정의에 의한 통일이 시급하다. 이 석기가 국내외에 최초로 알려진 일제 강점기 이래, 관련 논고는 裵眞晟(2007)의 연구가 거의 유일하다. 하지만 최근 영서지역및 동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자료가 늘어나면서 기존 형태분류의 문제점이 다소 노출되고 있고 동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것으로 알려졌던 분포상 역시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기존의 자료에 더해 최근증가한 자료를 망라하여 형태분류 및 용도ㆍ기능 등을 추정을 하고 적합한 용어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기존 Ⅰ류로 분류되었던 형태를 분석하여 石製解骨刀 및 石製食刀로, 형식학적 관점에서 ⅡㆍⅢ류로 분류되었던 형태를 통합하여 石製去皮刀로 명명하였다. 또한 각 형태의 석도를 반출하는 주거형태 및 공반유물상을 통해 종합 편년을 시도하여 각 형태 간 연대차가 무의미함을 증명하였고 이러한 형태차는 연대가 아닌 대상물에 기인한 것임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石製解骨刀는 사슴類와 같은 중ㆍ소형 육상동물의 1 차 가공인 해체작업, 石製食刀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용도 칼, 石製去皮刀는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데 특화된 도구임을 추론하였다. 특히 石製去皮刀는 총 네 형식(Ⅰ~Ⅳ)으로 구분하여 ⅠㆍⅡ식은 중ㆍ소형의 육상동물의 거피작업, ⅢㆍⅣ식은 기각류와같은 해서포유류의 거피작업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석기군을 반출하는 유구에서 공반되는 석기를 網羅하여 석기조성비를 통해 청동기시대 전기 생업 및 생계전략 변화에 대해서도 간단히 고찰하였다.
There is no archaeological information about so-called far east type knives in early Bronze age at Far East area. The name is also used by so many different thing so we have to need unity. Since the 1930s, there is only study on it by BAE(2007) in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yet. But, recently, it’s increasing of new data on western Kangwon area and south-east coast area. And now there are several problem is out, So it is necessary to fix the data by archaeological method. Therefore, on this research, It will be fully covered of data, and then to try type classification, supposition of function, finally offered each name of stone tools. So existing type of I is divided two type and named to ‘deboning knife’, ‘cutting knife’. And existing type of Ⅱ/Ⅲ is combined one type and named to ‘skinning knife’ finally. Especially skinning knife is compare with ULU, ancient alaska tool. Also to try recording chronologically all of data, as a result, proved not chronologically but the object. Deboning knife is used to deboning of small and medium sized mammal, cutting knife is used to a daily multi tool, skinning knife is used to skiver. Especially there are 4 type of skiver. Type of ⅠㆍⅡ is on small and medium sized mammal, type of ⅢㆍⅣ is on Pinnipedia where lived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t last considering on livelihood strategy of early Bronze Age in Korean Peninsula by composition ratio of all stone tools. Consequently, society at early Bronze Age in Korean Peninsula is put weight on hunting- gathering society rather than agrarian society. And these trend has connected to late Bronze Age so called ‘Type of Gumdanri society’.
Ⅰ. 머리말
Ⅱ. 문제점 및 着眼
Ⅲ. 자료의 검토
Ⅳ. 용어, 분포상, 연대 검토
Ⅴ. 용도 및 생업상
Ⅵ.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