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다뉴세문경의 실물관찰에서 확인되는 여러 요소를 토대로 제작과 사용 측면에 집중하여 출현이 갖는 의미를 시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다뉴조문경에서 다뉴세문경으로의 변화는 뉴의 분리 제작과 문양의 다양화가 확인된다. 그 과정 중 유문청동기(검파형동기 外)에서 관찰되는 직선형 뉴와 점열문 등의 동일성, 그리고 제작기법의 연계성 등에서 공통점이 찾아져 이들의 양식적 속성을 공유하여 다뉴세문경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즉 다뉴세문경은 다뉴조문경의 형태에 기반하지만 유문청동기 뉴와 문양의 조합으로 출현한 것이다. 이러한 점은 다뉴세문경을 원활하게 걸기 위한뉴 분리의 목적도 있겠지만 문양의 삽입과 동시에 內ㆍ中ㆍ外區의 구획을 가능케 하여 ‘거울’이라는 상징성을 더욱 구체화한 완성형의 제작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다뉴세문경은 한국 청동기 제작의 발전(복합 기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그기술의 정점에 新기물이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다뉴경은 경면(거울면)과 배면(문양면)에 마연ㆍ마모의 흔적이 관찰되는데, 그 형태와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으로 확인된다(a~d식). 그중 다뉴세문경 배면의 왼쪽 뉴 왼편에는 C자형 마모흔이 점차 넓어지는 크기로 관찰되는데, 이는 당시 소유자의 직접적인 사용으로 판단된다. 이 사용은 동경의 의례적인 모습으로 이해되고, 더불어 목관묘에서 파쇄ㆍ산포된 정황은 매장의 장송 의례를 병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뉴세문경의 의례는 마모-파쇄-산포의과정으로 파악되며, 일련의 행위는 그 상징성(제작)과 사용(훼손), 그리고 부장(파경ㆍ산포) 등 근원적인 기능을 살펴볼수 있게 한다.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aspects of production and use of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appearance theoretically. This may be for the smooth hanging of i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but it is for the production of a finished form that expresses the symbolism of the ‘mirror’ in more detail by enabling the insertion of patterns and the division of patterns into the inner, middle, and outer quarters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a series of processes, similarities were found, such as the sameness of strings and the Patterned Bronzeware (other than sword- shaped bronzeware), and the connection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ir mutual relationship seems to be even deepe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was created based o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and adding the knob motif of the bronzeware. This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ronze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in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can be seen as a the knob object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i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and the Patterned Bronzeware, and as the crystallization of creation. Along with this, marring and abrasion traces are observed on the mirror and back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and the pattern of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is confirmed (types a to d). The C-shaped wear marks on the left side of the double back (pattern side) of the string appear to have been directly used by the owner at the time, and are understood as the fundamental function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In particular, the situation in which the mirrors are broken and scattered in a wooden coffin tomb can be interpreted as a parallel with the burial ceremony along with the ceremonial act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so it can be understood as a common and identical society with traces of use.
Ⅰ. 머리말
Ⅱ. 다뉴세문경 제작의 모티프
Ⅲ. 다뉴세문경의 사용
Ⅳ. 맺음말: 다뉴세문경의 출현에 대한 초보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