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남고고학 제9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4~6세기 영남지역 저상부장묘(低床副葬墓)의 고고학적 함의

Archaeological Implications of tombs with the low-floor additional chamber in Yeongnam region in the 4th to 6th centuries

DOI : 10.47417/yar.2023.97.243
  • 101

이 글은 삼국시대 영남지역의 새로운 묘제인 저상부장묘의 출현과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분포의 의미를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저상부장묘는 강릉에서 창원에 이르는 해안지역과 경주-영천-경산으로 이어지는 내륙지역에 선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분포 정형은 신라와 가야의 영역에 걸쳐있고, 내륙과 해안을 아우르는 상이한 자연환경을 포괄하고 있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방법은 저상부장묘의 구조를 분석하고, 단계별 구조 및 분포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Ⅰ단계에는 김해를중심으로 창원에서 포항까지 해안을 따라 분포권이 형성된다. A식 저상부장만이 확인되며, 김해ㆍ창원은 순수목곽묘, 울산ㆍ부산은 위석목곽묘에서 확인된다. 김해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인다. Ⅱ단계에는 강원도 해안지역으로 분포권이 확대됨과 동시에 내륙의 경주, 영천, 경산까지 분포권이 확대된다. 이들 지역에서는 BㆍC식 저상부장이 새롭게 출현하여 유행하지만 김해ㆍ창원지역에서는 A식만이 확인되어 지역에 따라 다른 전개양상이 확인된다. 이 단계에 이르러서는 모든 지역에서 석곽묘에 저상부장이 설치된다. Ⅲ단계에는 경주 서남부와 울산 서부 내륙지역으로 분포권이 확대되지만, 영향력이 약하다. 김해, 창원, 부산지역에서의 축조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경주, 울산, 포항, 영천, 경산지역에서는 축조 비율이증가한다. 이를 통해 저상부장묘는 가야(김해)를 중심으로 새로운 매장 프로세스로서 출현하였고, 동시기 해안을 따라 신라의 해안지역과 공유되었으며, 신라에서 재지화된 지역양식이 출현함과 동시에 내륙(경산ㆍ영천)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내륙으로의 분포권 변화는 울산-경주-영천-경산에서만 확인되는 현상으로서 고분군의 선상 분포를 통해 경주를 중심으로 세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해안과 내륙을 연결하는 교통로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imed at the distribution of tomb style in Gyeongju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the space range was formed from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not from a political standpoint. The study subject are tombs with the low-floor additional chamber, which was judged to be data that can identify how the different natural environments of the coast and the inland we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omb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preading pattern was examined by categorizing tombs with the low-floor additional chamber and reviewing them step by step.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ombs were transmitted through the sea route and then spread to the inland via Ulsan. It was changed in three stages, and in stage I, it spread to the Changwon-Pohang line through maritime traffic. In stage Ⅱ, the maritime routes were expanded to Gangwon-do region, while the relations with the Gimhae and Changwon regions had decreased. The spread to the inland begins, and the traffic routes identified in this process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directions centered on Gyeongju. The traffic routes were divided into Northeast Road leading to the coastal port, Southeast Road leading to coastal cities with a mixture of special functional areas and gateway cities, and West Road leading to inland cities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In stage Ⅲ, And it was confirmed that land transportation routes were expanding to the inland area of western Ulsan and part of the coastal area of Ulsa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as increased by comparing this result with the ‘ㅏ’-shaped tomb(ㅏ字形古墳) representing Gyeongju’s Northeast cultu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at it belongs to the broad category of culture formed around Gyeongju, not the specificity of a single tomb style. This analysis wa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t connection between the coast and the inland.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verified by confirming the similarity of the region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life culture area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ere there was little change in transportation means.

Ⅰ. 머리말

Ⅱ. 구조분석

Ⅲ. 시공간 분석

Ⅳ. 고고학적 함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