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탈냉전시대 중국의 국제사회 극체제 및 외부위협에 대한 인식에 따라 북중관계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냉전 종식 이후 전 세계는 미국의 일극체제가 형성된 반면 동아시아는 미중 양극체제가 형성됐다. 중국은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승하면서도 자국이 속해 있는 동아시아 지역에 미국으로부터의 위협이 가해질 때 미국과 대립하였다. 미국과 협조체제를 이루었을 때 중국은 핵문제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있는 북한과 일정한 거리를 둔 반면, 미국과 갈등했을 때 북한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이는 탈냉전시대 역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악화됐던 북중관계는 중국이 1999년 NATO군의 군사적 공격에 위협을 낀 이후 정상화되었다. 2006년북한의 1차 핵실험에 따라 악화됐던 양국관계는 이명박 정부 집권 이후 한미동맹이 강화되자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강화되었다. 시진핑 집권 이후 북한의 계속된핵실험, 미사일 도발에 의해 악화됐던 북중관계는 2018년 미국의 대중견제가 본격화되자다시 강화됐다. 이러한 양국관계 패턴변화는 향후 북중관계가 어떻게 전개될지를 예측하게 해 준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지속되어 양국 갈등이 심화되면 북중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반면미중관계가 협력기조로 돌아서면 북중 협력관계는 이완될 수 있다. 현재 미중관계는 패권경쟁이라는 구조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당 기간 갈등관계를 형성할 것으로전망된다. 이에 따라 북한과 중국은 당분간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na’s realization of polarity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ts threat perception on the U.S. have affected China-North Korea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world has formed a U.S.-led unipolar system, while East Asia has been a bipolar system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 has jumped on the U.S. bandwagon but confronted it when the U.S. has posed threats to East Asia where China's vital interests reside. When it has had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U.S., China has kept a certain distance from North Korea, which is under international sanctions over its nuclear issue, while strengthening its relations with the DPRK when it has conflicted with the U.S. History has shown this pattern.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hich had deterior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normalized after China felt threatened by NATO’ military attack on Yugoslavia in 1999.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had deteriorated following North Korea's first nuclear test in 2006, strengthened despite the DPRK's second nuclear test in 2009 as the South Korea-U.S. alliance strengthened aft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ook power. Worsened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DPRK caused by North Korea's continued nuclear tests and missile provocations since Xi Jinping took power strengthened again when the U.S. began to balance against China in 2018. This pattern makes us predict how China-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in the future. If conflict intensifies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if U.S.-China relations turn to a cooperative stance, China-North Korea relations are likely to become estranged. It is predicted that conflictual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would continue, and therefore, clos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ould persist for the time being.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덩샤오핑~후진타오 시대 북중관계
Ⅳ. 시진핑 시대 북중관계
Ⅴ. 결론: 탈냉전기 중국의 극체제 및 위협 인식 변화에 따른 북중관계 동학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