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는 보험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금리연동형 보험상품을 판매하고 있고, 이러한 금리연동형 상품은 보험사마다 그리고 보험상품마다 다른 적용이율에 연동된다. 일반적으로 금리연동형 상품은 운용자산이익률과 시장금리를 적절히 반영한 공시이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공시이율을 회사의 수익과 보험계약자 만족도 제고를 위해 운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보험사와 보험계약자간 합리적인 투자성과 배분은 보험사의 자산운용에 대한 노력 증가를 유인하기 위한 합당한 보상이 이뤄진다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보험사의 자산운용에 대한 노력 수준을 나타내고, 관측이 가능한 지표로써 초과 수익률을 가정하고, 손해보험사의 실적자료를 이용하여 초과 수익률과 공시이율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 시 보험회사의 보험계약자에 대한 협상력을 나타내는 변수들도 함께 고려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금리연동형 보험계약의 부채 평가와 보험회사의 리스크관리 방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surance companies sell various interest-sensitive insurance products that reflect the purchase desire of insurance consumers, and these interest-sensitive insurance products are linked to different applied rates for each insurance company and for each insurance product. Interest-sensitive products generally apply the crediting rate that appropriately reflects investment returns and benchmark returns, and it is very important to operate the crediting rate to enhance the company’s earnings and the satisfaction of policyholders. Reasonable allocation of investment performance between insurers and policyholders may be possible if reasonable compensation is made to attract an increase in the insurer’s management effort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ess return and crediting rates by using the excess return as an observable indicator of the insurer’s effort level and using the non-life insurer’s performance data. In addition, the empirical analysis also considers variables that could represent the insurance company’s bargaining power over insuranc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could be used in the valuation of liabilities and the risk management plans in the interest-sensitive insurance con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모형 및 분석 데이터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부록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