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일본연구 第40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캐릭터 연구를 위한 ‘탈서사 캐릭터’ 개념 제언

Proposing the concept of 'Post-Narrative Character' for character studies: Applying Theory of Hiroki Azuma and Go Ito

  • 31

캐릭터가 활용되는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제 캐릭터는 우리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그 결과 캐릭터 산업은 애니메이션 산업의 주변 부문에서 그 자체로 선도적인 산업으로 변모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캐릭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여전히 전통적인 분석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변화하는 캐릭터 분야의 사회적, 산업적 현실과 모순될 뿐만 아니라 한국 캐릭터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학문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의 저명한 문학평론가이자 학자인 아즈마 히로키와 이토 고의 논의를 살펴본 후, 이를 국내의 캐릭터 산업에 적용하였다. 히로키는 ‘데이터베이스 소비’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도입해 일본 사회 내 캐릭터의 현대적 변화를 분석한다. 그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특정한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는 큰 이야기에 대한 수요가 현저히 감소하는 대신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작은 이야기의 수요가 늘어났으며, 그 결과 캐릭터는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히로키의 논의가 국내 캐릭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캐릭터의 특성 및 소비 경향을 설명하기 위해 탈서사 캐릭터라는 개념을 제안한 후, 탈서사 캐릭터에서 나타나는 캐릭터의 특성 및 그것이 국내의 캐릭터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규명한다. 그리고 이토 고의 논의를 참조해 캐릭터 용어 구분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이를 기반으로 탈서사 캐릭터라는 새로운 캐릭터 개념을 제시한다. 오늘날 서사 캐릭터와 탈서사 캐릭터는 공존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후자의 역할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모티콘 캐릭터를 기점으로 나타난 탈서사 캐릭터 및 그것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본 연구는 동시대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캐릭터 산업의 변화를 적절하게 포착하고 이를 의미 있게 논의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character products have gained significant popularity. The expansion of the customer base, the growing range of character products, and the various ways characters are being used have made them an integral part of our daily lives. As a result, the character industry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transforming from a peripheral sector of the animation industry to a leading industry in its own right. However, despite this widespread phenomenon, there appears to be limited discussion about characters in South Korea. To address this academic gap, this thesis adopt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Hiroki Azuma, a renowned literary critic and scholar and Ito Go, a manga critic from Japan. Azuma introduces a novel approach called “database consumption” to analyze the contemporary changes in characters within Japanese society. He argues that as Japan has entered the postmodern era, the demand for overarching narratives that convey specific values and meanings has significantly diminished. Consequently, characters have come to be viewed as commodities themselves, leading to new patterns in their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contrast, the study of characters in South Korea still relies on traditional analytical methods. An examination of domestic character theory reveals that South Korean scholars still prioritize two factors for successful characters: narrative coher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s' identities through the narrative. This approach not only contradicts the evolving social and industrial reality of the character field but also obstructs a precise interpretation of South Korean characters. This thes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emergence of new characters in the South Korean character market and elucidates the shift in the domestic character industry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using Azuma’s theoretical framework. Although both narrative and post-narrative characters continue to coexist, the latter is expected to assume a more prominent role. It is crucial to comprehend and engage in meaningful discussions regarding the ongoing transformation in the character industry.

Ⅰ.서론

Ⅱ. ‘데이터베이스 소비’론과 ‘캬랴’론

Ⅲ. 국내의 사례 적용

Ⅳ. 새로운 캐릭터 개념의 제언: 탈서사 캐릭터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