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중화장실에서 발생하는 강력범죄 및 성범죄로 인하여 여성들이 많은여성들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는 공중화장실에서 느낄 수 있는범죄두려움 요소들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체험을 통해 발생하는 실제 범죄 노출 위험과 시간적, 비용적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공중화장실 요소를 투입한 VR을 구현하였고, 이를 체험한 뒤 설문조사를 통해 두려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응답자들은 화장실의 위치, 남녀공용 화장실, 화장실의 밝기, 유지·관리와관련하여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범죄와 관련된 구체적범죄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이 느끼는 두려움의 수준에따라 각 VR요소에 대한 평가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화장실의 남녀 분리, 화장실 CCTV 및 비상벨과 관련된 안내문등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many women in Korea are afraid of violent crimes and sex crimes in public toil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and empirically identify the fear of crime factors that can be felt in public toilets. In this study, VR was implemented with actual public toilet elements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of actual crime exposure and time and cost problems that could be occurred through field experiences, and fear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survey after VR experi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fears about the location of the toilets, all-gender toilets, the brightness,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public toilets, and specific fear of crime related to sex crimes were high.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of each VR element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fear felt by the individual. Through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provide implications such as the separation of men and women in public toilets, installing CCTV around the public toilets, and attaching notification statements related to emergency bell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