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
An Empirical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in Adopting Metaverse Technology for Educational Service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7권 제5호
- 2023.09
- 73 - 88 (16 pages)
4차 산업혁명의 진전 및 언택트(Untact) 문화의 확산에 따라 메타버스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그 활용 분야도 점차 확장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메타버스라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할 경우 이에 대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잠재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유효한 25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을 바탕으로 도출된 성과 기대와 쾌락적 동기가 교육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은 유의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메타버스의 특성인 상호작용성,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모두 교육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교육 참여 동기인 학습 지향성 역시 이용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메타버스 교육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 크기는 쾌락적 동기, 학습 지향성, 성과 기대,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progress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pread of Untact culture, the utilization of the Metaverse became increasingly prevalent. Concurrently,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continually expand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adopt the Metaverse platform for educational service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potential Metaverse users, and 253 effectiv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and hedonic motivation, both based on the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2), had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educational services. The social influence factor was not tested for significance.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Metaverse - interactivity,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 all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educational services. The learning orientation, considered as the motivation to partake in education, also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e impact magnitude of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for educational services was ranked as follows: hedonic motivation, learning orientation, performance expectancy,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