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질적탐구 제9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ith Teachi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DOI : 10.30940/JQI.2023.9.3.1
  • 138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을 수년간 가르쳤던 연구자인 ‘나’의 경험을 대상으로 한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초등학교 담임 교사가 통합학급에서 아이들을 가르친 경험의 내용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과 분석 결과 나타난 경험의 내용은 크게 수업, 생활 지도,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로 나누어졌다. 수업 측면에서는 특수교육 전문성의 부족, 통합교육의 본질의 혼란 등이 발견되었고, 생활 측면에서는 다양한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행동 형성 방법을 적용하여 자폐성장애 아동을 학급에 적응시키는 경험이 드러났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측면에서는 하나의 목표를 두고 서로 협업하고 있으면서도 미묘한 긴장과 불일치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경험의 내용들은 세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초등학교 내에서 자폐성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교육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 통합교육을 운영하는 체제 간에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자폐성장애 아동의 통합교육 가능성이 나타난 점이었다. 이에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meanings of a homeroom teacher’s experiences with teaching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utoethnography of the investigator’s experiences of teachi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many yea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the content of experiences was mainly divided into lessons, life guidance, and relations with people around. In the aspect of lessons, there were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fusion over the essence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aspect of life, the teacher had experiences of helpi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adjust to the class by applying a repeated and focused behavior 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assistance of various people around her. In the aspect of relations with people around, the teacher had subtle tension and disagreement even amid cooperation with people around her under a single goal. These experiences held three meanings: th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not clear in elementary school; there was no effective communication and support between the different system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and there were possibilities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thes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Ⅰ. 서론: 전직 초등교사의 기억

Ⅱ. 연구방법: 자문화기술지

Ⅲ. 연구 결과: 한 초등학교 교사의 이야기

Ⅳ. 결론 및 논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의 의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