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질적탐구 제9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Life History on the Placelessness of an Old Woman Who Lost Her Home in the Korean War

DOI : 10.30940/JQI.2023.9.3.271
  • 94

전쟁은 급작스러운 충격과 시련으로 다가와 인간다운 삶을 훼손시키고 상처와 상실을 남긴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그 총체적 삶의 여정이 어떠한 의미인지 생애사 연구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을 위해서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80대 후반 여성노인을 연구참여자로 엄선하였으며 15회기에 걸쳐 심층면담했다. 수집한 구술자료는 Mandelbaum(1973)이 기준으로 제시한 세 가지 차원의 틀로 분석했다. 연구참여자의 인식과 경험에 내재한 의미를 확인한 결과, ‘삶의 영역’은 ‘이제는 갈 수 없는 나의 살던 고향’, ‘전환점’은 ‘전쟁으로 인해 붕괴된 보금자리’, ‘적응’은 ‘새로운 터전에서 살아낸 질고의 삶’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발견을 근거로, 전쟁에 따른 장소상실의 의미 환기와 더불어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생애 이야기에 관한 역사적 가치, 해당 인구집단의 고유성 등의 재고 차원에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을 겪은 여성노인의 인생사 재구성과 함께 장소상실에 관한 통찰을 실향민 당사자의 시각에서 구체적으로 재조명한 의의가 있다.

War brings a sudden shock and ordeal to ordinary people, undermines human life, and leaves behind scars and loss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 depth the placelessness of an old woman who lost her hometown due to the Korean War, and holistically examine the significance of her life journey through a study of her life history. After carefully selecting an old woman in her late 80s who was displaced by the Korean Wa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5 in-depth interview sessions with the participant. The analyses of the oral data were conducted using Mandelbaum’s (1973) three-dimensional framework. After identifying the significances inherent i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the ‘dimensions’ were considered ‘my hometown to which I can no longer go back’; the ‘turning points’ were ‘my home was destroyed by the war’; the ‘adaptation’ was ‘a life full of suffering and sickness in a new place.’ This study and its findings resonate the significance of the notion of placelessness due to war, and discussions are made on related topic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considering the historical value of the life story of an old woman who lost her hometown during the Korean War; the research also underpins the uniqueness of this particular popul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its reconstruction of the life history of the old woman who underwent the Korean War, and its provision of insights into the notion of placeles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who was displac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