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46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9호.jpg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수준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직·간접적인 경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육교사의 소진은 직무환경 및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직무환경, 직무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을 통해 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보육교사가 직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회복탄력성이 증가하여 소진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결론 보육교사가 직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회복탄력성이 증가해 소진이 감소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과 회복탄력성 증진의 중요성을 확인하며 교사교육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w the job environment, job stress, and resilienc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n direct or indirect routes.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by 227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across the country and a survey. SPSS 22.0 program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were used. Results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environment, resil-ience,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Job stress had a effect on burnout. The job environ-ment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had a indirect effect on burnout through resilience.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as childcare teachers positively perceived the job environment and received less job stress, resilience increased and burnout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eacher education,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multifaceted approaches to prevent burnout and pro-mote resili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