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창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lay-Centered Activities Utilizing Original Children's Songs on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and Playfulness of Three-Year-Old Children

  • 19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9호.jpg

목적 본 연구는 창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유치원에 다니는 만 3세반 유아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에는 16주 동안 창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같은 기간 동안 누리과정에 근거한 음악 중심 활동을 적용하였다. 측정도구는 김광자(2004)가 수정·보완한 음악적 표현능력 검사도구와 김영희(1995)가 수정·보완한 놀이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청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창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은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신체표현, 음악 만들기 등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창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은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등 유아의 놀이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이는 만 3세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놀이성 증진에 있어 창작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 활동을 활용하는 것이 의미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 중심의 계획된 새노래 지도 방식에서 벗어나 교사들이 창작동요를 적극 활용하여 유아 주도의 놀이 활동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도움을 제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y-centered activities utilizing original children's songs on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and playfulness of three-year-old children. Methods The study focused on 40 children aged 3, attending the preschool class at S Kindergartens in Seoul. In the experimental group, play-centered activities utilizing original children's songs were implemented for 16 weeks, while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music-centered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for the same duration. Measurement tools included the music 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tool revised and refined by Kim Kwang-ja (2004), and the playfulness assessment tool revised and refined by Kim Young-hee (1995). To vali-d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lay-centered activities using age-appropriate song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children from both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firstly, play-centered activities utilizing original children's song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of children, including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body expression, and creating music. Secondly, these play-centered activities we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playfulnes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Conclusions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play-centered activities with original children's songs for enhancing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playfulness of 3-year-old children. This study holds importance in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approach of planned song instruction, and instead, assisting teachers to actively employ original children's songs, thus aiding in the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child-led play activiti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