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Analysis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Pediatric Migrain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volume64,number10
-
2023.10951 - 956 (6 pages)
-
DOI : 10.3341/jkos.2023.64.10.951
- 4

목적: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동반된 시각적인 전조 증상에 따른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차이를 빛간섭단층촬영을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기질적인 질환이 없는 편두통 환아들과 정상 대조군 소아를 대상으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시각적 전조 증상의 유무와 양상에 따른 차이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편두통의 기간, 지속 시간, 빈도가 망막시신경섬유층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는 편두통 환아 45명과 대조군 30명이 포함되었다. 편두통 환아 중 시각적 전조 증상을 호소한 환아는 15명, 시각적인전조 증상이 없는 환아는 30명이었다. 시각적 전조 증상 중 시각 흐림 및 암점이 있었던 환아는 7명, 섬광 증상을 호소한 환아는8명이었다.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비교는 시각 흐림 및 암점을 호소한 환아에서 대조군, 전조 증상이 없는 환아, 섬광 증상을 호소한 환아보다 전체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가 유의미하게 얇게 나타났다(p<0.05). 또한 두통의지속 시간과 빈도가 전체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82, p=0.022). 결론: 시각 흐림 및 암점의 전조 증상을 호소한 편두통 환아에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유의하게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We investigated disparities in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surrounding the optic disc among pediatric migraine patients based on the presence of a concomitant visual aura. Methods: We us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o measure RNFL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in children with migraines and no organic diseases, along with a control group of healthy children. Differences in RNFL thicknes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ttern of prognostic symptom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graine duration and frequency on RNFL thickness. Results: In total, 45 children with migraine and 30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 children with migraine, 15 experienced visual aura, whereas 30 did not exhibit visual aura. Visual prognostic symptoms included blurred vision, scotoma, and scintillating scotoma. Seven children presented with blurred vision and scotoma, whereas eight reported scintillating scotomas. The mean RNFL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blurred vision and scotomas (89.19 ± 7.99 μ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98.79 ± 8.49 μm), patients without visual aura (100.55 ± 6.43 μm), and patients with scintillating scotoma (102.21 ± 10.13 μm, p < 0.05). Conclusions: RNFL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hildren with migraine who reported symptoms of blurred vision and scotoma.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