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간의 관계,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 증감률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증감률 간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지역별 경찰공무원 배치의 적절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는 평균 이상은 7개 지역, 평균 이하는 10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범죄건수 증감률(%)은 평균 이상 감소는 8개 지역, 평균 이하 감소는 9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국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는 평균 이상은 7개 지역, 평균 이하 지역은 10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담당주민수 증감률(%)은 평균 이상은 9개 지역, 평균 이하는 8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간의 관계는 전국 및 지역 공히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가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와 동행(同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 증감률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증감률 간의 관계는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증감률이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 증감률과 동행(同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별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건수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 및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 간의 관계에서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주민수가 인구 천명당 범죄발생 건수에 동행하는 만큼, 지역별로 경찰공무원의 적절하고 균형된 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ropriateness of police officer placement by reg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etc.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by region was above the average in 7 regions. As for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crimes by region, 8 regions showed an above-average decrease. Seco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nationwide was above average in 7 regions. As for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by region, 9 regions were above the averag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both nationally and reg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moved with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crimes per 1,000 popula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residents in charge per police officer did not move togeth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