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성찰일지 작성 경험을 분석하고, 효과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학습성찰일지 활동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학습성찰일지의 개념과 교육적 효과를 교육학적 측면과 기독교교육학적 측면에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성서교수법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작성한 중간 및 기말 서술식 강의평가 자료, 교수자가 직접 만든 종강설문지 등의 자료, 12번의 학습성찰일지 작성 경험을 한 6명의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학습성찰일지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성찰일지의 효과를 파악하고 전공 수업을 통해 아는 것을 실천하는 기독교교육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훈련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성찰일지 활동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 효과적인 학습성찰일지 활동을 위해 복습과 성찰의 문항을 부담이 되지 않도록 줄이고, 균형있게 문항을 포함할 것과 학습자 측면에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문항을 설정하고, 수업 태도 개선을 위한 실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문항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제출 기간과 작성 횟수에 대해 학생들과 학기 초에 합의하여 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writing a learning reflection journal, identify the effects, and propose an effectiv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ctivity way.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and educational effect of th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erms of educational and Christian educational aspects, and analyzed th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experience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ix students. Through this,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nd suggests effectiv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ctivity way that can be applied to training that can grow as a Christian educator who practices what he or she know through major class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ctivities, it was proposed to reduce the number of review and reflection questions so that they would not be burdensome, to include questions in a balanced way, to help learners to improve class attitudes.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 submission period and the number of writing journals should be agreed upon with the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