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5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류세 생태 위기와 속도 문명 성찰

Réflexions sur la crise écologique de l’Anthropocène et la civilisation de la vitesse: autour de la politique de mobilité française

DOI : 10.18022/acfco.2023.58.1.001
  • 117

본 연구는 오늘날의 전 지구적인 인류세 기후 위기 상황에서 최근 프랑스의 모빌리티 정책을 논의하고, 이와 연관하여 ‘속도 문명’에 대해 근본적인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사유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와 인프라 구축, 오염물질 저감 구역인 ZFE 설정과 관련하여 자동차 운행 제한 조치 등 프랑스의 모빌리티 정책을 다룬다. 이어서 두 사상가의 철학적 접근이 현재의 속도 문명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한다. 우선 학제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상가인 폴 비릴리오가 어떻게 현대사회의 특징을 ‘속도’에 은유하여 통찰력을 제시하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공정성과 에너지의 관계, 그중에서도 자전거 문화의 사회정치적 함의를 강조한 이반 일리치의 논지를 검토한다.

Cet étude vise à discuter des récentes politiques françaises de mobilité dans le contexte de la crise climatique mondiale de l'Anthropocène et, dans cette situation, à examiner les raisons d’une réflexion fondamentale sur la ‘civilisation de la vitesse’. En premier lieu, nous analyserons les politiques françaises de mobilité, notamment la mise en place d’institutions et d’infrastructures pour promouvoir le vélo et la restriction des déplacements automobiles comme la création de ZFE (Zone à faibles émissions). Ensuite, nous considérerons des implications des approches philosophiques des deux penseurs pour notre civilisation actuelle de la vitesse. Nous verrons comment Paul Virilio, penseur interdisciplinaire, éclaire la métaphore de la ‘vitesse’ en tant que caractéristique de la société moderne. Enfin, nous examinerons le travail d’Ivan Illich, qui met l'accent sur la relation entre l’équité sociale et l’énergie, et sur les implications sociopolitiques de la culture du vélo en particulier.

1. 들어가는 글

2. 본론

3. 나오는 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