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5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마리즈 콩데의 『이반과 이바나의 경이롭고 슬픈 운명 Le fabuleux et triste destin d’Ivan et Ivana』에 나타난 폭력

La violence dans Le fableux et triste destin d’Ivan et Ivana de Maryse Condé

본고는 마리즈 콩데의 최근작 『이반과 이바나의 경이롭고 슬픈 운명』을 통해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서아프리카의 말리 및 프랑스 해외영토 출신의 사람들이 어떤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것에 어떤 방식으로 대항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과들루프의 하층민 출신인 이반과 이바나라는 쌍둥이가 주인공인 이 소설에서, 우리는 특히 이반의 삶을 중심으로 폭력의 양상에 대해 고찰한다. 이반은 어린 시절 시장에서 당한 언어적 폭력, 지젝식으로 말하자면 상징적 폭력을 당하면서 학교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로 성장하고 감옥에 갇히기도 한다. 과들루프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이반은 여동생과 함께 얼굴도 모르는 생부의 초청으로 말리로 떠난다. 그러나 권력을 두고 쉼 없이 세력들 간의 경쟁과 내전이 이어지는 경찰국가 말리에서도 이반은 자신의 자리를 찾을 수가 없다. 그는 이슬람교로 개종한 후 결국 민병대 대장과 민간인들을 죽이는 테러를 저지른다. 이후 프랑스로 건너간 이반은 말리에서 첫 우정을 나누었던 친구를 우연히 만나 함께 마약 밀매를 하지만, 곧 친구가 체포되고 며칠 지나지 않아서 친구가 감옥에서 자살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자살인지 타살인지 알 수는 없으나, 극심한 신문 과정을 거치던 친구의 얼굴이 상처투성이였음을 알게 된 이반은 큰 상처와 절망을 경험한다. 이반의 소외감은 극에 달하고 말리에서 세례를 받았던 이슬람교 집회에 나가면서 위안을 얻는다. 그리고 퇴직한 경찰들이 거주하는 양로원에 침임해서 무차별 사살을 가하는 폭력을 휘두른 후, 자신도 총에 맞아 죽음을 맞이한다. 이러한 이반의 삶을 통해 우리가 주목하는 점은 폭력이 이반에게 어떻게 가해졌으며, 이반이 그것에 대항하는 폭력을 어떤 식으로 표출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지젝이 주장했던 공권력에 의한 구조적 폭력과 상징적 폭력론에 기대어 이반이 당한 폭력의 양태를 고찰하며, 결국 이반이 자신의 주관적 폭력에서 벗어나 벤야민과 지젝이 제시했던 신적 폭력으로 나아감을 살펴본다.

Le fableux et triste destin d’Ivan et Ivana, publié en 2018, est une des principales oeuvres de Maryse Condé. Après avoir remporté le prix Nobel alternatif de littérature, l’écrivaine guadeloupéenne n’est plus inconnue en Corée. Depuis, plusieurs de ses livres traduits en coréen sont publiés. Nous nous intéressons, dans la présente étude, à l’analyse du texte, Le fableux et triste destin d’Ivan et Ivana, Ce roman décrit le méandre d’une vie des jumeaux, Ivan et Ivana, nés d’une mère célibataire très pauvre à Guadeloupe. Ivan est un personnage qui ne s’adapte pas bien à la société, alors que sa soeur, Ivana est une élève modèle. Ivan part finalement au Mali avec sa sœur à l'invitation de son père biologique. Cependant, il ne trouve pas sa place au Mali, un État policier où la guerre civile et la compétition entre les forces se poursuivent sans cesse. Après s'être converti à l'islam, il finit par commettre un attentat terroriste qui tue le capitaine de la milice et des civils. Le protagoniste s’enfuit ainsi en France pour échapper à la mort. Le sentiment d'aliénation d'Ivan atteint son apogée, après avoir perdu son ami au prison. Il trouve du réconfort en se rendant à une réunion musulmane. Puis, la communauté musulmane lui ordonne un autre attentat terroriste dans la maison de la retraite des policiers français. Bien qu’il ne soit pas d’accord pour cet ordre, il le met à effet, et il s’abat lui-mê̂me. Nous analysons ce texte au thème de violence commise par l’individu ou la communauté. Selon Slavoj Zizek, la violence n’est pas un accident de nos systèmes, mais elle en est la fondation. Il divise ainsi la “violence subjective” et la “violence objective”. Alors que la première est immédiatement visible et exercée par un agent clairement identificable, l’autre se distingue par le fait d’ê̂tre inhérente au système. En appuyant la théorie de Zizek, nous examinons comment la violence est infligée au protagoniste et comment il exprime la violence contre la violence objective. Il nous semble finalement qu’Ivan commet la “violence divine” contre la violence structurelle.

1. 들어가는 글

2. 본론

3. 나오는 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