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새국어교육 13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Teacher’s Essay-Type Assessment Expertise Test Tool

DOI : 10.15734/koed..136.202309.167
  • 18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하는 타당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전자를 위해 문헌 조사와 전문가 검토를 거쳐 5개 요인, 5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어 223명의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검사 도구를 투입한 뒤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Rasch 모형, 탐색적 확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Rasch 모형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1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과정에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공통성을 기준으로 2개 문항을, 요인 부하량을 기준으로 10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최종 결과 검토 과정에서 관련성 없는 요인에 할당된 문항 2개를 삭제하였다. 그 결과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 검사 도구는 4개 요인, 38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결론: 첫째,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은 ‘논술형 평가 이론’, ‘논술형 평가 계획 및 도구 개발’, ‘논술형 평가 시행 및 채점’, ‘논술형 평가 결과 활용’ 총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타당화 과정에서 삭제된 문항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존 논술형 평가 지침의 실제적인 현장 적합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논술형 평가 도구 제작과 관련된 평가 전문성 구성 요소를 다시 한번 탐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전문성 신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test tool to measure Korean language teachers’ essay-type evaluation expertise. Methods: A test tool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 and the Rasch model, exploratory confirmator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essay-type evaluation expertise test tool was developed with 4 factors and 38 questions. Conclusion: First,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tise in essay-type evaluation consisted of four factors: ‘Essay-type evaluation theory,’ ‘Development of essay-type evaluation plan and tools,’ ‘Implementation and grading of essay-type evaluation,’ and ‘Use of essay-type evaluation results.’ Second,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actual field suitability of existing essay-type evaluation guidelines. Third, there is a need to once again explore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expertise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essay-type evaluation tools. Fourth,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increase customized expertise.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