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따른 노동시장 이행궤적 분석: 성 역할 가치관을 중심으로

  • 100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이행궤적을 유형화함으로써 결혼과 출산이라고 하는 생애 사건에 따른 통합적인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최근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사회문화 심리적 요인인 성 역할 가치관이 여성 노동시장 이행궤적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의 1차~8차까지 14년간의 시계열 자 료를 활용하고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s)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따른 집단별 최적의 노동시장 지위 변화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의 의미를 선행연 구 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다항 로짓 모델을 적용하여 성 역할 가치관의 영향력을 중심 으로 하여 다양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이행궤적은 ‘노동시장 지속이탈형’, ‘중기 일시정규직 진입형’, ‘후기 정규직 진입형’, ‘비정규직 이탈형’, ‘내 사업 이탈형’, ‘정규직 이탈 형’ 6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본 분석 유형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장기간 지속하여 노동시 장을 이탈하는 기혼여성의 비중이 감소하였고, 중・후반부에 전격적으로 정규직 임금 일자리에 진입 하는 독특한 특성의 유형이 추세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이행궤적의 결정요인으 로 연령, 학력, 가구소득, 출산 여부, 자녀 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성 역할 가치관의 영향력 역시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따른 노동시장 이행궤적의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우리 사회의 평등적 성 역할 가치관과 여성 노동시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안을 강조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