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지방자치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군무원 인사관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nel Management of Army Civilian Employee on Job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DOI : 10.38134/klgr.2022.24.3.027
  • 15

본 연구는 군무원의 인사관리 제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 것이다. 인사관리 변수는 채용관리, 승진관리, 보수관리, 보직교육, 근무복지 등 5개 요인이다. 직무관련 변수는 직무만족과 몰입, 직무성과 등 3개요인이다. 군인/군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753개 표본을 이용하여 타당도/신뢰도, 상관/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관리 변수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인사관리 변수는 직무만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미친다. 인사관리 변수는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향후, 군무원의 민간인력 채용, 근무평정 공개, 보수교육 체계화, 복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of army civilian employee affects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s a medium. Personnel management variables are five factors including recruitment, promotion, remuneration management, position training, and work welfare. Job-related variables consist of three factors: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military personnel and army civilian employee. There were 753 survey data, and using them, validity,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First, personnel management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Second, job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ut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 Personnel management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Personnel management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job commitment. In the future,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recruit civilians for military personnel, disclose work ratings, systematize remuneration education, and expand welfare.

Ⅰ. 머리말

Ⅱ. 이론적 고찰

Ⅲ. 결과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