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지방자치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가치는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가?

Can Public Value Theory Contribute to Solving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DOI : 10.38134/klgr.2023.25.1.075
  • 48

본 연구는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변증법적 대안으로 등장한 공공가치가 행정학 정체성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행정학 정체성 위기의본질이 행정학의 탄생 과정부터 형성된 정치-행정 이원론에 있고 이러한 이원론이 행정학의 정체성을 어떻게 왜곡했고, 행정학 담론을 어떻게 협소하게 하였는지 논의하였다. 공공가치 연구가 이러한 행정학의 정체성의 한계를 극복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또한가치 다원주의, 탈경계, 탈중심주의를 중시하는 포스트 모던 시대 가치에 부합함을 설명하였다. 공공(성), 행정 가치, 공직 가치, 행정이념과 같이 공공가치 연구의 전신이 되는 개념과 이론이 행정학 정체성 담론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제한된 방식으로 행정가치를 다루는 한계를 보여주었는데, 이제는 공공가치가 이전의 행정 가치 개념과 행정이론을 통합하고 새롭게 바라볼 뿐만 아니라 다학제간 연구의 지경을 더욱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행정학의 정당성과 위상에 대한 성찰과 공공가치의 미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ublic value theory in solving the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which was adopted as an alternative paradigm to new public management. Although the historical necessity of separating administration from politics in consequence helped to form public administration as a distinct field of study, unfortunately the politics-administration dichotomy has perverted the legitimacy and identit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has narrowed the scope of public administration discourse. Though the preceding similar and related concepts and theories to public value such as the public, publicness, administrative value, public service value, administrative ideologies and so on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identity discourse, they are limited in more fuller explication of public values. Now public value not only can integrate and look at those old concepts and theories in a new perspective, but also can expand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and practice. Lastly, reflective thoughts on the ligitimacy and statu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future research agendas are suggested.

Ⅰ. 서 론

Ⅱ. 행정학 정체성 위기의 본질

Ⅲ. 공공가치론이 어떻게 행정(학) 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가?

Ⅳ. 결론: 성찰과 미래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