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에서 한자·한문 관련 강의가 왜 개설되어야 하고, 어떤 교육과정을 마련하면 좋을지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수요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강의 요소 및 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각론이 발표되었는데, 여기에서 강조되는 것은 ‘변혁적 역량’이다. 변혁적 역량이나 2022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것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자 교육의 연계, 특히 요즘 부각되고 있는 문해력과의 연결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하였고, 그 결과, 교육대학에서 한자·한문 강의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최근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미래 핵심역량을 키워주는 교육이 등장한다.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라 자기주도적 미래 인재를 양성해야 하고, 이를 위해 기존 교육에서 벗어나 미래 핵심역량(6Cs)을 키워주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의 역할도 가르치는 것에서 배움을 촉진하는 조력자로, 지식 전달자에서 사회 정서적 역량 관리자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한다. 특히, 사회 정서적 역량은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는데, 이는 곧 인성 교육과 연관이 있고, 현시점에 필요한 윤리 교육과도 관련이 있다. 그렇다면 사회 정서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한자·한문 교육은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연구자는 함께 모여 공부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부터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깔고 있다. 설문 결과, 교육대학에서 한자나 한자어 관련 강좌를 개설하는 것은 유의미하며, 적절한 학기는 2학기 정도로 개설되는 것이 좋다고 조사되었다. 교육대학에서 한자나 한자어 관련 강좌를 설계할 때 길러야 하는 주요 역량을 한자 쓰기, 한자의 기본음과 뜻 파악하기, 한자·한문의 축자 풀이하기, 바르게 띄어 읽기, 격언 알기, 명문 해석하기 등으로 나누어 물으니, 격언 알기나 명문 해석하기는 상대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답변이 나왔다. 이러한 설문 조사 분석 결과는 교육대학에서의 한자·한문 관련 강좌를 개설할 때, 전국의 교육대학에서 공통으로 개설할 수 있는 강좌의 운영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공통 개설 강의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why a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train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offer lectures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language(漢字) and classical Chinese literature(漢文), as well as how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To achieve this objectiv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educators to assess their need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have proposed elements and designs for these lectures. The survey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emand for a course focused on kanji and the Chinese character language within a university of education. It was determined that a curriculum spanning approximately two semesters would be appropriate. Key skills that should be cultivated when designing courses related to kanji and Chinese characters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include writing kanji, understanding the basic sounds and meanings of kanji, solving problems related to kanji and their usage, accurate reading, and comprehension of proverbs. When inquiring separately about knowledge related to interpretation of famous sentences, it was found that knowledge of proverbs and analysis of renowned phrases were of relatively low importance. The insights gathered from these surveys and analyse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course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across various universities of education when establishing courses centered on kanji and kanbun. They provide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course development.
1. 들어가며
2. 설문 설계 및 내용
3. 교육대학에서의 한자·한문 관련 강의 설계를 위한 설문 분석
4. 강의 구성 방안
5.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