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테서렉트(Tesseract)의 기하학적인 시공간 이론 개념을 활용한 형태적인 구조 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입사 기법을 이용한 다차원의 형태를 조형 장신구로 표현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전개를 위하여 수학자 찰스 하워드 힌튼(Charles Howard Hinton)의 테서렉트 개념과 특성을 고찰한다. 또한 조형 장신구로 완성함에 있어 앙리 푸앵카레(Henri Poincaré)의 테서렉트에 대한 하이퍼큐브 형태와 크리스 맥뮬런(Chris McMullen)의 글로메스(Glomes) 원형 이론을 차용하여 정리하고 응용한다. 새로운 조형원리의 향상을 위해, 테서렉트의 원리를 적용한다. 이론적인 바탕은 테서렉트의 수학적인 개념, 조형성, 그리고 조형원리인 수직, 수평, 반복, 중첩, 확장,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단계적으로 구현한다. 그리고 테서렉트 개념이 적용되어진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된 사례들을 찾아 분석한다. 본 연구 작품은 자연의 이미지를 토대로 입사 문양을 만들고, 이를 3D 기법과 결합하여 입체적인 형태로 형상화하며 또한 이런 과정을 통해 시공간 차원을 은유적으로 작품에 표현함으로써 완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과 실용성을 접목시키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일반적인 평면 입사 반지에 4차원 테서렉트의 조형 언어 개념을 적용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둔다.
This study is based on a structural research that employs the geometric spacetime theory of the Tesseract, with the aim of representing multi-dimensional forms as sculptural jewelry using the perspective technique. In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sseract by mathematician Charles Howard Hinton are examined. The completion of the sculptural jewelry involves borrowing and applying the theories of Henri Poincaré's hypercube form of the Tesseract and Chris McMullen's Glomes sphere. The principles of the Tesseract are utilized to enhance new sculptural principles. The theoretical basis involves the mathematical concept of the Tesseract, its plasticity, and the application of sculptural principles such as verticality, horizontality, repetition, overlapping, expansion, and change, which are gradually implemented. Also, instances where the Tesseract concept has been applied to jewelry design are sought and analyzed. The artwork of this study is completed by creating perspective patterns based on the image of nature, forming them into three-dimensional shapes using 3D techniques, and metaphorically expressing spacetime dimensions in the work through such processes. In this study, the focus was on integrating design and practicality. Significant emphasis was placed on applying the conceptual language of a 4D tesseract to conventional inlay rings.
Ⅰ. 서 론
Ⅱ. 테서렉트 개념의 조형성
Ⅲ. 테서렉트 개념의 조형원리 적용 연구
Ⅳ.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