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정주환경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과 개선과제
Foreigners' Perception of the Settlement Environment in Free Economic Zone and the Issues of Improvement: Focused on the Incheon Songdo International City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제21권 제3호 (통권 제61호)
- 2023.09
- 23 - 35 (13 pages)
본 연구는 경제자유구역의 정주환경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과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송도국제도시를 공간적 범위로 합니다. 선행연구 및 개발계획을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15명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여 내용을 도출하였습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송도국제도시는 주거, 문화체육시설, 의료, 교육 등의 주거환경을 고려해 외국인 거주자들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도록 유도해 개발되었습니다. 특히 모든 이슈에서 소통의 어려움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특히 민간 의존도가 높은 분야에서 계획과 다른 여건으로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다문화적 포용성을 높이기 위해 주택분야에 대한 공적 개입, 공용어로 된 정보시스템 및 환경, 조기주민 정착을 위한 지원제도, 문화교류 등을 제안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정착환경에 대한 적극적 검토로 개발된 경제자유구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향후 외국인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외국인 정착에 대한 인식을 모든 지역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foreigners' perceptions and tasks of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free economic zones. The study selected Songdo International City in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as a spatial scop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evelopment plans,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created, and the cont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based on the results of written interviews with 15 foreigners. Songdo International City in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was developed by encouraging foreign residents to use English as an official language,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housing, cultural and sports facilities, medical, and education. In particular, problems with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ppear in all issues, and it can be seen that conditions different from plans have been created, especially in areas where dependence on the private sector is high. As a result, public intervention in the housing sector, information systems, and environments in the official language, support systems for early resident settlement, and cultural exchanges were proposed to increase multicultural inclusion in the future. This study targets free economic zones developed by a special review of the foreign settlement environment, but this perception of foreign settlement needs to be considered in all regions at a time when foreign population growth is expected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고찰 및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