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의 거점시설에 대한 운영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Status of Base Facilities in Completed Areas of the General Agricultural and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with a Focus on Facilities Established within the Uiseong-Gun Area Maintenance Project
- JHW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제21권 제3호 (통권 제61호)
- 2023.09
- 223 - 232 (10 pages)
본 연구는 의성군 내에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의 거점시설에 대한 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성군 내 6개 권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대면인터뷰를 통해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진단지표를 통해 분석하여 우수한 운영권역과 미흡한 운영권역을 선정하였다. 운영실태조사결과, 우수운영의 원인은 운영조직과 주민의 적극적 참여, 차별성 있는 권역별 사업, 권역의 홍보 등으로 나타났다. 미흡운영의 원인은 고령화와 인구소멸로 인한 운영인력 부족, 운영조직 체계의 불확실성, 완료지구별 소통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운영조직 역량증진교육, 완료지구 네트워크 구축, 권역 특화콘텐츠 개발 컨설팅 등의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사후운영관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of base facilities in completed areas of the General Agricultural and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ix district-level areas in Uiseong-Gun were analyzed via in-person interviews and field surveys, and the analyzed data was used via diagnostic indicators to identify each area’s operational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actors contributing to excellent operations included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differentiated district-level businesses, and district promotion. On the other hand, items contributing to inadequate operations included personnel shortages due to ageing and population decrease, lack of confidence in the management organiz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Hence,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training to enhance the operational capabilities of managing organizations, establishing a network between completed districts, and district-specialized content develop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의성군 권역 단위종합 정비사업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