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민족문화논총 제8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근대 이행기 한국 지역사회 변동과 서원의 변용

Changes in local society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won in Modern Transitional Period of Korea

DOI : 10.15186/ikc.2023.8.31.04
  • 42

식민지적 근대를 경험한 한국의 근대 이행기는 다층적인 시각에서 접근할필요가 있다. 급격한 사회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전통의 지속과 근대화라는 변화가 공존하고 있었고, 전통적 지배 질서는 해체되기보다 특정 분야에서는 오히려 온존·강화되는 양상도 확인된다. 한국에서 제도로서의 신분제는 갑오개혁으로 폐지되었지만, 식민지기에도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일제하 유림이 서원의 복설 및 신설, 향교 참여, 족보의 간행과 문중 선양을위한 각종 행사를 통한 차별화를 꾀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일제하지역 사회를 주도한 자는 지역 유지로 불리는 집단이었는데, 이들은 조선총독부가 조직한 각종 단체에서의 활동을 통해 형성된 명망성을 기반으로 유지로서 행세할 수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향교와 서당의 체제내화를 통해 사회교화사업과 보통교육의보완재로 활용하였다. 향교는 조선총독부의 철저한 통제하에 지역 유림들의거점 활동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총독부 역시 향교 재산을 활용하여 지방교화사업을 전개하고자 했는데, 지역사회에서 향교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음에도 향교와 유림들의 사회적 장악력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전통적 교육기관인 서당은 근대적 학교 제도에 일부 편입시키려 하였다. 반면 서원의 경우, 조선총독부의 정책에서 소외된 채 주변화되고 있었다. 지역의 문중은 서원을 통해 양반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여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하였고, 그 결과 서원의 복설과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일제시대 서원은 이전에 비해 그 역할과 영향력이 매우 감소했는데, 이는 취약한 경제적 기반도 영향을 미쳤다.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옥산서원의 경우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탁회사에 토지를 맡기는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면서 자구책 마련에 힘쓰고 있었다.

Modern transitional period of Korea after experiencing Colonial Modernity needs to be approached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In the midst of rapid social mobility,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zation coexisted, and the traditional ruling order was not dismantled, but rather preserved and strengthened in certain areas. In Korea, the caste system as an institution was abolished by the Gabo reform, but its influence remained stro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A typical example is how the Confucians sought to differentiate themselves under Japanese occupation by renewing seowon, participating in hyanggyo, publishing genealogy. Meanwhile, the Japanese colonial community was led by a group called the local magnate, who were able to establish a reputation and pose as magnate through their activities in various organizations organiz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nted to incorporate hyanggyo and seodang into the system as a supplement to socialization and general education. Hyanggyo served as a hub for local Confucians under the strict control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lso wanted to use the hyanggyo's properties to carry out edification work, believing that despite the hyanggyo's declining status in society, the social control of the hyanggyo and Confucians remained effective. Seodang, a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was to be partially incorporated into the modern school system. In the case of seowon, however, was marginalized and peripheralized. Local clan sought to maintain their influence in the community by establishing their status as yangban(兩班) family through seowon, which led to the restoration and establishment of seowon. However, the role and influence of seowon was greatly dimin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part due to the weak economic base. In the case of Oksan Seowon, a representative seowon in the Yeongnam area, tried to find a way to solve its debt problems by placing its land in trust.

Ⅰ. 머리말

Ⅱ. 근대 이행기 지역사회의 변동과 전통적 질서의 변용

Ⅲ. 근대 이행기 서원의 주변화와 자구책 모색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