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 박운의 수기지학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민족문화논총 제8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용암 박운의 수기지학

Park Un's ‘philosophy of self-cultivation’: Focusing on the System of Thought in 'Gyukmongpyeon'

DOI : 10.15186/ikc.2023.8.31.10

초록

이 글은 용암龍巖 박운朴雲의 수양론에 관한 두 편의 편저 가운데 하나인 『격몽편擊蒙編』을 토대로 박운의 수기지학修己之學에 대한 사유체계를 고찰한 것이다. 박운은 조선 중기 경북 선산지역 성리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부모를 극진히 모신 효심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그는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하에들어가 김취성金就成·김취문金就文 형제와 함께 수학하면서 송당학파의 위상을 전국에 떨쳤다. 하지만 연산군의 폭정과 중종의 기묘사화를 지켜본 아버지묵제공黙齊公 박종원朴宗元의 유언을 따라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고향에 머물며 학문을 닦고 그 성과를 후대에 전수하는 데 힘썼다. 또한 당대 대학자인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등과도 교류하며 시와 학문을 논한 대학자로 명망을얻었다. 그가 남긴 기록은 선산의 후학들에게 큰 가르침이 되었다. 박운은 50세(1542)에 정이程頤와 주희朱熹를 중심으로 ‘거경궁리居敬窮理’ 에 대한 정주학파의 여러 어록을 선별하여 『격몽편』을 지었다. 거경居敬은 심心을 대상으로 삼아 덕성德性을 함양하는 수양법이고, 궁리窮理는 리理를 대상으로 삼아 만물을 탐구하여 지식을 확장하는 공부법이다. 이 두 가지는 인간의 마음이 사욕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병진해야 하는 정주학파의 수기지학을 가리킨다. 율곡 이이는 『격몽편』의 발문跋文을 지어 “내가 용암 선생의 『격몽편』을 읽어보고 나서야 용암의 이 학문(정주학파의 수양론)에 대한 공부가 깊고 마음 씀이 부지런함을 알았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가 문장을 가려 뽑은 것이 이토록 정밀하고도 절실할 수 있었겠는가? 정주학파의 여러 선생들을지금은 만날 수 없지만 그들의 후대 사람들을 위한 요긴한 뜻을 다 모아 놓았으니, 용암이 후학들에게 베풀어준 은혜가 또한 지극하다고 할 것이다”라고말하였다. 박운은 『격몽편』을 편수함으로써 선현의 수기지학修己之學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리하여 본인 스스로의 도덕 수양을 증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학의 학문 활동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ystem of thought concerning Park Un's philosoph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one of his two main works, Gyukmongpyeon. Park Un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Neo-Confucianism from the Gyeongbuk Seonsan regio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e gained widespread recognition for his filial devotion to his parents. He studied under Park Young along with the Kim brothers, Kim Chwiseong and Kim Chwimun, contributing to the nationwide prominence of the Songdang school of thought. However, following the last wishes of his father, Park Jongwon, who had witnessed the tyrannical rule of King Yeonsan and the political chaos during King Jungjong's reign, he did not pursue a career in government. Instead, he stayed in his hometown, dedicated himself to scholarly pursuits, and worked to pass down his academic achievements to future generations. He also gained fame as a great scholar of his time through interactions and academic discussions with contemporary scholars like Lee Eonjeok and Lee Hwang. At the age of 50 (in 1542), Park Un compiled Gyukmongpyeon by selecting various sayings from the Cheng-Zhu school of Confucianism centered around Cheng Yi and Zhu Xi, focusing on ‘Geo Gyeong Gung Ri’. ‘Geo Gyeong’ refers to a self-cultivation method that targets the heart-mind to foster virtue, while ‘Gung Ri’ refers to a study method targeting principles to explore all things and expand knowledge. These two elements collectively indicate the self-cultivation philosophy of the Cheng-Zhu school that needs to be integrated to prevent the human mind from falling into desire. Lee Yulgok wrote in the postscript of Gyukmongpyeon: “Only after reading Master Park Un's Gyukmongpyeon did I realize how deep his research into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the Cheng-Zhu school was, and how diligently he had studied. Had that not been the case, the sentences he selected could not have been so precise and heartfelt. Although we can't meet t he v arious masters o f the C heng-Zhu s chool today, Park Un has gathered all their beneficial teachings left for future generations. The grace he has bestowed upon future scholars is indeed immense.” Through compiling Gyukmongpyeon, Park Un not only succinctly and clearly organized the self-cultivation philosophy of previous sages but also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cholarly activities of future generations.

로딩중